빅데이터가 가져다 줄 보건복지분야 가능성과 미래비전 | 김현곤 | 2-3 | 2015.09.01 | - | |
보건복지분야 공공 빅데이터의 활용과 과제(Big Data and Its Applications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s) | 이연희 | 5-16 | 2015.09.01 | - | |
보건복지분야 데이터 연계 필요성 및 활용방안(On the Need for Data Linkage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s) | 오미애 | 17-28 | 2015.09.01 | - | |
소셜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 방안 (메르스 정보확산과 위험예측 중심으로)(Social Big Data and Its Appli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MERS Information Diffusion and Risk Prediction) | 송태민 | 29-49 | 2015.09.01 | - | |
의료분야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규정 현황과 과제(De-identification Policy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asks on Healthcare Big Data) | 정영철 | 50-60 | 2015.09.01 | - | |
경력단절 여성 지원정책의 현황과 과제(Supporting Policies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Current Status and Policy Tasks) | 최민정 | 62-73 | 2015.09.01 | - | |
OECD BLI 지표를 통해 본 한국의 삶의 질(Quality of Life in Korea on OECD Better Life Index) | 정해식 | 75-88 | 2015.09.01 | - | |
영국 케어 홈의 의약품 관리정책 및 시사점(Drug Management in the UK Care Home and Its Implications) | 박은자 | 89-97 | 2015.09.0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