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미국의 교육불평등(Educational Inequality)에 대한 조기 개입 정책
- 개인저자
- 김순양
- 수록페이지
- 103-136 p.
- 발행일자
- 2012.07.01
- 출판사
- 韓國行政硏究院
초록
본 논문은 교육불평등(educational inequality) 해소와 관련한 가장 오래된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미국의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을 연방정부 및 지역단위 차원에서 동시에 분석해 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육불평등 완화 정책의 적실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이론적인 측면에서 교육불평등의 의의를 살펴보고, 미국의 교육불평등 대처정책인 헤드스타트를 관리운영, 재정, 프로그램, 성과관리, 사회적 지원이라는 다섯 가지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 틀(framework)에 입각하여 헤드스타트를 연방정부 및 지역단위 차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지역단위의 헤드스타트 사례는 Texas주 Dallas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헤드스타트는 단일법 체제와 지도자의 강력한 의지 아래에서 안정성·지속성 확보,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의 질 개선을 위한 노력, 부모의 적극적인 참여, 지역맞춤형 프로그램 개선과 같은 특징 등이 발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교육불평등 완화 정책의 적실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유사중복 사업의 정리, 단일법안 마련, 양적인 팽창이 아닌 질적인 개선을 위한 노력, 지역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촉진과 이를 반영한 성과지표 개발, 사회적 자원의 적극적 활용 등과 같은 제언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