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공공부문 자체감사인력의 감사역량에 관한 연구

개인저자
유승현
수록페이지
125-160 p.
발행일자
2014.03.30
출판사
韓國行政硏究院
초록
감사주체, 감사대상, 감사유형을 막론하고 본질적으로 감사는 자질을 갖춘 독립적인 제3자가 어떤 업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업무 관련 규범이나 기준을 준수하고 있는지 그 증거를 조사하고 확인하는 절차이다. 이와 같은 개념정의에 기초해 볼 때 감사인이 감사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자질, 즉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최근 행정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공감사의 영역이 전통적인 회계검사를 벗어나 성과감사, 데이터 감사, 환경감사 등으로 확대되고 있어 공공감사인에게 요구되는 역량 역시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Power의 “감사사회 이론”에서 강조되고 있는 바와 같이 공공감사에 대한 사회적 기대와 그 영역의 확대되고 있으나, 감사인의 역량은 기존의 전통적인 감사업무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수준에 머물러 있어, 공공감사가 형식화되고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행정의 책무성과 투명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지 못한다는 다양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자체감사기구의 감사인력은 단기적인 주기의 순환보직으로 운영되고 있어 현대적인 감사환경에 적합한 일정 수준의 감사역량을 확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본 논문은 공공부문 자체감사인력을 대상으로 감사업무 수행에 필요한 요구역량과 현재역량을 비교・분석하여 현재 자체감사인력의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향후 감사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이론적・실무적 논의와 감사관련 전문가 및 실무자와의 토론에 기초하여 감사역량을 기반역량, 실무역량, 분석역량, 지식역량, 행태역량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으며, 2013년 감사원에서 실시된 2012년도 자체감사활동 심사를 받은 170개 공공부문 자체감사기구의 신규 감사인력(감사부서 근무연수 1년 미만), 기존 감사인력(감사부서 근무연수 1년 이상), 감사관리자 (감사팀장 또는 실장급 이상)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전체 자체감사인력의 역량수준과 기관유형별・직급별 역량차이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