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서남권 화장장 입지 갈등 사례 연구: 정책 정당성 이론을 중심으로(A Case Study on Conflicts by the NIMBY Facilities : Focusing on the Policy Legitimacy Approach)

개인저자
오재록, 박치성
수록페이지
111-130 p.
발행일자
2014.09.30
출판사
韓國行政硏究院
초록
이 연구는 서남권 화장장 입지 갈등 사례를 정책 정당성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을둔 것으로, 이를 통해 입지 갈등의 원인과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종래의 연구들이 대부분 갈등 원인보다는 갈등과정 및 해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이 사례를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정책 정당성 이론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을 적용해본결과, 서남권 화장장 정책을 추진한 주체(각급 정부: 중앙정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가정책의 정당성(절차적 정당성과 내용적 정당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것이 갈등의 근본 원인인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사례는 정부가 비선호시설 확충에 필요한 정책 정당성 확보 전략을 어떻게수립하고 추진할 것인지와 관련하여 많은 교훈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IMBY case (i.e., crematorium) through policy legitimacyapproach, which is expected to produce better policy implications for conflict resolution inconflicts by the NIMBY facilitie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leading local governmentfor the crematorium lacked of procedural aspect of policy legitimacy by neglecting potentiallysignificant policy stakeholders (i.e., citizens who live next to this local government area) whenit decided the location of crematorium. Accordingly, the conflicts became intensified withinvolvement of a new policy stakeholders, which could be prevented if this neglected policystakeholders had involved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es before. On the basis of results, thisstudy proposes that procedural policy legitimacy (i.e., including all possible policy stakeholderswho would and might be affected by the NIMBY facilities) should be an initial condition forthe government to achieve before making decisions for the NIMBY facilities, because the NIMBYcases could bring hidden or potentially important policy stakeholders who will be actively againstthe NIMBY facility after decision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