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여성결혼이민자의 임금결정요인 분석(A Study on the Wage Determinants among the Asian Female Married Immigrants:Chinese, Korean-Chinese, Vietnamese, Pilipinas)
- 개인저자
- 조선주
- 수록페이지
- 45-75 p.
- 발행일자
- 2017.09.30
- 출판사
- 한국노동연구원
초록
본 논문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의 의의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여성결혼이민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2015년 전국다문화실태조사」원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한 것이다. 헤크만의 2단계 추정모형을 이용하여 (1)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자본이 좋을수록 경제활동참가 및 임금이 높을 것인지, (2)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은 경제활동참가를 낮출 것인지, (3) 국가별로 결과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적자본 변수인 모국에서 취득한 학력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참여 및 임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한국계)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에는 학력이 경제활동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한국계),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는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임금에 각각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여성결혼이민자에게는 한국의 체류기간이 길지 않을수록 임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세 이하의 자녀양육 여부는 중국, 중국(한국계), 베트남,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 모두의 경제활동참여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순가구 소득 또한 국가별 여성결혼이민자의 개인임금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he wages among Asian female married immigrants from China, China_Korea, Vietnam and Philippines, using the ‘2015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adopts the Heckman’s two stage model to correct the selection bias in regard to the labor supply, with a special attention to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the proficiency at Korean language and the presence of the young child (ren) at home on the wage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educational attainments from the mother country are likel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ntering the labor market, to be related to the wage rates among immigrant women. For immigrant women from mainland China, more educational attainments are likely to lower the probability of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while those are likely to increase the wage for immigrant women from Korean-Chinese and Philippines. Second, immigrant married women are likely to get higher earnings as they attain better ability of listening, comprehending and writing Korean. Third, immigrant women from China and Chinese Korean women experience lower earnings as they stay longer in Korea. Fourth, the presence of preschool children at home aren’t likely to lower earnings for all the immigrant women. Finally, immigrant women experience higher earnings as their net family income (not including immigrant women’s own earnings) increases or decr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