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산재보험 장해연금 수급자 생명표 개발 연구

개인저자
정홍주
수록페이지
49-86 p.
발행일자
2014.06.30
출판사
한국노동연구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공받은 1997년 1월 1일부터 2013년 8월 31일까지의 산재보험 장해연금 수급자(총 542,494명)의 성, 연령, 장해등급, 연금 수급 시작?종료일 등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험계리적 기법(Jenkins 5차 접촉 보간법, Greville 3차 11항 보정, Makeham 보외 등)을 적용하여 산재보험 장해연금 수급자의 연금생명표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정홍주 외(2008)의 산재보험 장해연금 수급자보다 남녀 모두 연금사망률은 감소하고, 기대여명은 증가하였다. 연령대별 연금사망률과 기대여명에 있어서 남자는 40대와 50대의 연금사망률이 과거보다 낮아져 평균여명이 최대 2.88세 증가하였고, 여자의 경우 20대부터 60대의 구간에서 평균여명이 크게(최대 3.47세) 증가하였다. 그리고 국민생명표의 사망률, 기대여명과 본 연구의 연금사망률, 평균여명을 비교한 결과, 산재보험 장해연금 수급자의 연금사망률이 일반 국민의 사망률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전 연령에서 산재보험 장해연금 수급자의 평균여명이 짧아 평균 남성의 경우 약 1년, 여자의 경우 최대 3.3년 정도 평균여명이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