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기기 업무사용과 일-가정 갈등의 다중매개역할(The Multi-path Mediated effect of Work-related Mobile Use during Nonwork Time and Work-Family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Life Satisfaction)

개인저자
박재춘
수록페이지
55-82 p.
발행일자
2017.12.30
출판사
한국노동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일’과 ‘삶’의 조화가 중요한 여성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기기 업무사용과 일-가정 갈등의 다중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비서직 여성노동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 여성노동자들이 지각하는 일-가정 갈등은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즉, 높아진 직무요구는 여성노동자들의 일-가정 갈등을 높이고, 결국 생활에 대한 불만족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둘째, 퇴근 후 모바일 업무사용은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셋째,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사용과 일-가정 갈등은 다중매개역할을 하였다. 즉,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높은 직무요구는 퇴근 후에도 업무처리를 위한 모바일 업무사용을 높이고, 결국 여성노동자들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어렵게 하여 생활만족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ulti-path mediating effect of mobile use during nonwork time and work-family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argeted 131 incumbent secretaries are as follows: First, work-family conflict turned out to medi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job demands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related mobile use during nonwork time. Third, work-related mobile use during nonwork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family conflict, whereas mobile use didn’t have any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work-related mobile use didn’t turn out to medi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work-related mobile use and work-family conflict have shown multi-path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life satisfaction(job demands → mobile use during nonwork time → work-family conflict →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