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사업체 장애인 고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저자
- 이홍직
- 수록페이지
- 183-206 p.
- 발행일자
- 2010.11.24
- 출판사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수집한 ‘2008년 사업체 장애인고용 실태조사’ 자료를 기초로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업체의 조직특성 요인, 지원제도 이용요인, 취업지원서비스 이용요인, 장애인고용인식 요인을 통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독립변인인 사업체의 조직특성 요인, 지원제도 이용요인, 취업지원서비스 이용요인, 장애인고용인식과 종속변인인 고용률에 대해 파악하고자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둘째, 각 독립변인별 장애인 고용률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셋째, 본 연구에 활용한 변수 간 상관관계와 다중공산성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넷째, 각각의 독립변인들이 사업체 장애인의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조직 특성요인에서는 사업체의 소재지, 지원제도이용요인 중에서는 고용장려금 제도, 무상지원제도, 시설자금 융자제도,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의 이용여부가, 장애인고용인식 요인에서는 장애인의 직장생활에 대한 인식, 장애인의 직무능력에 대한 인식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사업체 장애인의 고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도시에 위치한 사업체가 중소도시에 위치한 사업체에 비해 장애인 고용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장려금 제도, 무상지원제도, 시설자금 융자제도,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 등의 제도를 이용하는 사업체의 경우가 보다 높은 장애인 고용률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애인의 정상적인 직장생활이 가능하다고 인식할수록, 비장애인에 비해 직무능력이 결여되었다고 인식할수록, 장애인지원에 대한 부담이 없다고 인식할수록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률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증진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