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장애인 당사자와 부모가 경험하는 직업재활 욕구와 실태
- 개인저자
- 이은미
- 수록페이지
- 295-322 p.
- 발행일자
- 2012.11.27
- 출판사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애인 당사자와 부모가 직업재활에 대해 어떠한 욕구가 있으며, 직업재활 관련 서비스 및 제도 하에 이들이 경험하는 실태는 어떠한가에 대한 질적연구이다. 총 43명의 장애인 및 장애인 부모가 참여한 본 연구는 4-5인 대상의 포커스집단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연구분석방법을 통해 경험의 의미와 실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총 3개의 범주, 6개의 주제묶음, 16개의 소주제가 나타났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들은 직업재활을 위한 직업훈련 진입 과정에서 정보원천이 매우 제한됨에 따라 학교나 공공기관을 통해 직업훈련에 진입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지인이나 친구, 가족 등을 통한 비공식적 루트를 통해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훈련의 문제점으로 가장 중요하게 지적된 것은 장애특성을 고려한 직업훈련이 부족 또는 부재하고, 직업훈련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으며, 적성에 맞지 않아도 대안이 없고, 직업훈련 또는 보호고용 형태라도 받아주는 곳이 없으니 선택보다는 주어진 것을 수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훈련은 열심히 하지만 취업으로 연결되기 어렵고 정당한 임금이나 근무조건이 아닌 경우가 많으며, 수급 탈락 우려로 취업동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우리나라 장애인 취업을 촉진하고 의미있는 직업재활을 위한 개선과제로는 취업 전 현장 및 개별훈련 강화, 취업 후 현장지도 및 사후관리, 사회성 및 대인관계 훈련의 필요성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