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직업전문보조공학 센터의 모델 연구

개인저자
이근민
수록페이지
165-192 p.
발행일자
2014.05.28
출판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본 논문에서는 직업재활 및 취업지원하기 위한 보조공학 센터의 모델 연구를 위해 5년 이상 보조공학과 관련된 전문가 15인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조사 내용으로는 현재 직업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직업 전문 보조공학 센터의 필요성과 직업 전문 보조공학 센터 설립 시 역할과 기능, 운영주체 및 체계, 서비스 대상자, 필요한 전문 인력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한 결과 보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 지원 사업이 산업 현장에 있는 근로 장애인들에게 기기의 활용적인 측면, 평가적인 측면, 서비스 지원 및 질적 측면, 서비스 범위 및 내용 측면, 그 외 기타적인 측면에서 한계점과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업전문보조공학센터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이 의견으로 제시하였다. 그 이유로 보조공학서비스 전달과정의 전문성, 정보제공 등 이였다. 또한 그 역할과 기능으로 맞춤보조공학서비스 제공,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및 국산화, 체험장 및 전시장을 통한 정보교류 등이 제시되었다. 운영주체는 별도의 법인 설립을 통한 전문성 강화이며, 서비스 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조공학서비스과정을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초기 지원 및 대학 교육을 포함한 대상자 확대, 전문성강화를 위한 전문 인력 확보, 찾아가는 서비스의 영역 확대를 통한 센터의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따라서 현재의 보조공학기기 지원 사업을 개선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문화된 직업전문보조공학센터의 모델이 실제 적용된다면, 잠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문 인력이 양성될 것이고, 장기적으로는 전문가들의 기술 축적을 통해 적용된 대상자이자 사용자인 장애인들의 근로 의욕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