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시각장애 재활 전문가의 대학 양성에 대한현장 종사자의 인식 연구(A Study on Recognition of Related Staff about Setting up the Vision Rehabilitation Department in a University)
- 개인저자
- 이태훈
- 수록페이지
- 5-26 p.
- 발행일자
- 2014.11.28
- 출판사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시각장애 재활 이론의 발전과 일선 기관의 재활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대학에서 시각장애 재활 전문가를 보다 체계적으로 양성·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 시각장애 재활 전문가 양성에 대한 현장 종사자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시각장애인복지관 종사자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시각장애 관련기관에서 시각장애 재활 전문 인력을 구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대학에서 시각장애 재활 전공자를 배출한다면 우선 채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 재활 전문가 양성은 현행 민간 단체 중심의 단기과정이 아닌 대학 학부와 대학원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양성해야 하며, 4년제 국립대학교 또는 한국복지대학에 신설하는 것을 지지하였다. 셋째, 시각장애 재활 전문가 대학 양성과정의 입학 정원은 20명이 적절하고, 졸업 후 취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교육과정은 사회복지나 직업재활 등을 복수 전공할 수 있는 멀티전공트랙으로 운영하며, 전공 교과목은 졸업생이 점자지도, 보행훈련, 일상생활훈련, 저시력 지원 등의 재활 영역을 모두 통합 담당할 수 있도록 편성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시각장애 재활 전문가 대학 양성에 대한 민관학의 논의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taff of welfare centers for the visual impaired recognize about setting up the vision rehabilitation department in a university. A total of 106 staff from 15 welfare centers for the visual impaired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with 27 i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e welfare centers for the visual impaired have been hard up hiring the eligible rehabilitation specialists for the visual impaired. So if vision rehabilitation specialists will be trained in a univesity, the staff of welfare centers for the visual impaired supported that the centers have to hire them first. Second, the staff supported that the train course of vision rehabilition specialist should establish in a national university, not private agency]. Third. the staff were of opinion that the proper entrance quota is twenty persons and the curricular have to be composed multi-major tracks possible to major in social welfare or vocation rehabilitation. So the related institions should step up setting up the vision rehabilitation department in a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