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장애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Effects of Career Stress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개인저자
김진영, 정원철
수록페이지
249-275 p.
발행일자
2014.11.28
출판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부모지지, 교수지지, 친구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하고자 계획 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8명(남학생 61명, 여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 학년이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으며, 진로스트레스가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지지 중 교수지지와 친구지지는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대학생의 교수지지와 친구지지는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심리적 요인 못지않게 장애대학생의 외적 요인에 대한 지지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개입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CDMSE)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8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201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chool year and career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CDMSE. As social support factors, professor support and peer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DMSE. On the other hand parents support had no effects on the CDMS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ocial supports including professor support and peer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DMSE. This study verified professor and peers supports are important in improving the CDMSE of the college student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authors remark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