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비용-편익 분석(Cost-Benefit Analysis of Disability Employment Support Program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Employment Success Package and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

개인저자
정상훈
수록페이지
157-187 p.
발행일자
2015.05.28
출판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본 연구는 비용-편익 분석 기법을 활용해 2013년 1회계연도에 걸쳐 수행된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취업성공패키지와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 중 비교 우위의 대안을 탐색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적정하게 제공하는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비용 및 편익의 귀속 주체를 참가자․비참가자․사회로 구분하고, 회계모형에 기초해 분석 모형을 구축한 후 비용 및 편익의 귀속 주체별 편익/비용 비율을 도출하였다. 참가자 관점의 편익/비용 비율은 취업성공패키지가 1.003으로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 0.796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회 관점의 편익/비용 비율도 취업성공패키지가 1.012로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 0.851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비참가자 관점의 편익/비용 비율은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이 1.323으로 취업성공패키지 1.063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귀속 주체별 순편익 증진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장애인고용정책 입안자에게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가자 및 사회 전체의 편익 증진을 위해서는 취업성공패키지처럼 취업 장애인에게 경제적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 비참가자의 편익 증진을 위해서 취업성공패키지와 기존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제도적 장점을 결합해 취업 친화적인 장애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measures that provide adequate program for supporting disabled people’s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ducted to search for measures with comparative advantage among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s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and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carried out during 2013, Fiscal Year 1 by utilizing cost-profit analysis technique. As for the profit/cost share from the participants’ viewpoint,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was 1.003, which is higher than the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 (0.796). Profit/cost share from the society’s viewpoint also manifested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with 1.012, which is higher than the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 (0.851). Meanwhile,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 was 1.323 in case of the profit/cost share from non-participants’ viewpoint, which was higher than the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1.063).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to the disabled people employment policy ma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adopt a system that provides economic incentive to the employed disabled people like the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in order to increase profit for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for supporting disabled people’s employment and for the entire soci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employment-friendly program for supporting disabled people’s employment by grafting together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and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structural advantages to increase profit for the people who do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supporting disabled people’s empl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