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environment)

개인저자
김화선
수록페이지
585-604 p.
발행일자
2017.11.30
출판사
한국아동권리학회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간 직무환경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J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정서노동의 하위요인 중 자연적 행동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표면적 행동은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간 직무환경의 조절효과를 보면, 직무환경 중 시설장과의 관계, 복지환경, 교사 전문성 지원, 그리고 운영 및 의사결정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이직을 예방하는 직무환경 개선에 대한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how emotional labor impacts turnover intention, and whether job environment has a moderating effect among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e subjects for the study consisted of 167 child care teachers in J Provinc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y highlight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natural act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and surface act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welfare environment, suppor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peration and decision making were significa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reventing turnover of child car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