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어머니의 감사성향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mothers’ gratitude disposition on preschool children’ resilienc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 개인저자
- 김수희
- 수록페이지
- 319-335 p.
- 발행일자
- 2018.05.28
- 출판사
- 한국아동권리학회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감사성향, 정서표현성 및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모형화하여,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강화를 위한 개입전략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서울과 경기도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총 6개 기관의 만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228명에게 자기보고식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최대우도법을 적용한 잠재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의 감사성향, 긍정정서표현성, 부정정서표현성 및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다. 둘째, 어머니의 긍정정서표현성은 감사성향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을 부분 매개한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을 높이기 위한 접근으로 어머니의 감사성향과 긍정정서표현성 향상을 모색하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useful data that can be used to explore th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nhancing preschool children’ resilience by verifying and 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gratitude disposi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resilience of preschool children. Methods: 228 mothers of 5-year-old children in six kindergartens and child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survey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gratitude disposition,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resilience of preschool children. Seco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a mother partially mediated mother’ gratitude disposition and resilience of preschool childre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enhancing the mothers’ gratitude disposition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esilience of preschool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