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퇴직연금 펀드의 정성적 요인 연구
- 개인저자
- 김정호
- 수록페이지
- 27-47 p.
- 발행일자
- 2014.12.15
- 출판사
- 한국연금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퇴직연금 운용사 선정 기준의 일부인 정성평가 요인을 살펴보고, 이런 정성평가 요인들이 퇴직연금 펀드 수익률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 공공기관의 퇴직연금 운용사 선정기준과 연금 선진국인 미국에서 실시하는 자산운용사 평가체계와 정성적 요소들을 살펴보았으며, 설문 조사에 반영된 정성적요인(Process, People, 회사/문화)들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가설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채택된 가설을 바탕으로 퇴직연금 펀드 수익률이 높은 자산운용사와 낮은 자산운용사의 정성적 요인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수익률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세 가지 정성적요인 중 인력(People)요인은 설정된 가설이 모두 채택되어 펀드매니저들의 전문성과 차별의 지속성 그리고 인사의 안정성이 상당히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펀드매니저들이 위험을 감수하면서 초과 성과를 달성하기 보다는 펀드 매니저들사이에 일반적인 투자형태를 따라하는 Herding Effect 한계를 넘어서야 함을 나타내는 것이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한 실증적 탐색적 조사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다중공선성으로 인행 연구변수의 범주 내에서 다중회귀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해 같은 범주의 변수 중에서 어느 요인이 중요한지 요인 중요도 파악에 실패했다는 점은 분명한 본 연구의 한계이며 향후 연구과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