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저금리 시대의 실적배당형 퇴직연금 상품 종류 선택에 관한 실증연구
- 개인저자
- 임두빈
- 수록페이지
- 43-61 p.
- 발행일자
- 2015.12.15
- 출판사
- 한국연금학회
초록
저금리 시대가 장기화 되면서 원리금 보장 상품에 가입되어 있는 퇴직연금의 수익률은 저조한 상황이며,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개인의 적정한 노후연금자산을 형성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퇴직연금사업자의 DC형 상품별가입자 자료를 사용하여, 실적배당형 상품 선택 개수에 미치는 요인에 관해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연간임금과 적립금규모가 많을수록, 퇴직연금의 가입일수가 짧을수록, 개인의 연환산수익률이 높을수록, 본인의 추가부담이 있는 경우, 중간정산의 경험이 있는 경우에 다수의 실적배당형 상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가입자가 종사하는 업종의 특성에 따라 실적배당형을 상품을 선택하는 개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4개 이상의 실적배당형 상품을 선택한 가입자를 능동적가입자로, 3개 이하의 실적배당형 상품을 선택한 가입자를 수동적가입자로 설정하고 각 집단의 특성에 관해 로짓분석을 통해 실증분석한 결과 능동적가입자 집단은 수동적가입자 집단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능동적가입자의 경우 퇴직연금 가입일수가 수동적가입자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운용경험이 많은 가입자는 보다 다양한 상품을 활용하여 자산을 배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macroeconomic regime of low level interest rates has challenged the retirement pension holders, particularly for principal and interest guaranteed pension products, in choosing proper pension asset allocations. We use a dataset of DC-type pension plans to characterize various factors affecting individual`s choices toward high-return asset allocations. Our empirical results of Poisson regressions show that retirement pension holders are more likely to select risky high-return assets in the case of the younger with aggressive portfolios investment strategies, the higher deposits of annual wage and savings, the shorter retirement pension participation periods, a chance of additional contributions, and early withdrawal experiences. In addition, active investors prove higher profitability than the passive subscribers, mainly due to longer pension participation periods and managing experience with diverse ass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