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교육과 중노년기의 건강(Education and Health of Elderly)

개인저자
조인숙
수록페이지
29-48 p.
발행일자
2018.06.15
출판사
한국연금학회
초록
인구구조의 급격한 노령화와 함께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과제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노년기 인구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논문은 교육이 중노년기 인구의 건강에 어떤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이 연구의 회귀분석 결과는, 고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개인일수록 보다 나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건강상의 문제로 인해 일상생활의 지장을 받을 가능성이 낮음을 보여준다. 둘째, 이러한 교육과 건강간의 정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교육과 생활습관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회귀분석결과는 고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개인일수록 보다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일수록 건강에 대한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투자를 더 많이 할 것이라는 설명을 간접적으로 지지한다. 이 논문은 또한 은퇴, 소득, 성별에 따른 교육과 건강간의 관계도 살펴본다. As population aging progresses,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health of elderly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health of elderly. This study reports two important findings. First,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 level tends to enjoy better health status and have lower probability to suffer from physical inabilities.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In particular,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 tend to be engaged in positive health behaviors such as workout, quitting smoking or quitting drinking. This suggests that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invest in their own health in order to increase expected lifetime utility. Further, this study reviews the relation between health and education by retirement status, income, and ge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