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속간행물

직업능력개발연구

서명/저자사항
직업능력개발연구
대등서명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변경전서명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제16권(2013년)-제20권제2호(2017년 9월)
발행사항
서울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형태사항
책 : 삽도 ; 26 cm.
현재 간행빈도
연3회간
권연차사항
제16권 제1호(2013년)-
ISSN
2288-2014
선행간행물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권(1998년)-제15권(2012년)
기사색인
기사명저자페이지발행일첨부내용보기
대졸자의 첫 일자리 학력 및 스킬 미스매치와 개인 특성, 취업준비 특성, 첫 일자리 특성 및 첫 일자리 성과의 관계(Qualification and skill mismatch in university graduates’ first job, with respect to personal details, job-seeking traits, first job particularities and performance)최지원1-302018.08.01-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고용가능성과 직업가치관, 취업준비행동 및 NCS기반 교육과정과의 인과적 관계(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future employability, occupational value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urricula)김인곤31-582018.08.01-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 현장 훈련 실행 및 학습 전이의 관계에 대한 학습 전이 풍토의 조절된 매개효과(Appropriateness of in-company on-the-job trainer selection for a work-learning dual system and the moderated-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ransfer climate on on-the-job-training and learning transfer)김대영59-872018.08.01-
청년층 사회경제 활동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영향요인 분석(Latent Class Analysis of Scioeconomic Status Among Young Work Force)주휘정89-1172018.08.01-
청년층 사회경제 활동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영향요인 분석(Latent Class Analysis of Scioeconomic Status Among Young Work Force)김보민119-1562018.08.01-
고용구조 변화와 노동시장 이중구조화(Changes in Employment Structure and Labor Market Dualization: An Analysis of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05~15)류기락157-1932018.08.01-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유형 분류 및 개인 변인의 영향력 분석(Classification of College Students` Job Preference Types and Influence Analysis of Individual Variables)박연복1-272017.12.01-
특성화 고등학교의 직업교육 성과 분석 모형 개발(Development of Outcome Analysis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 Case of Mutual Creative Educational System)허희옥29-632017.12.01-
학교선택제가 학생 특성별 학교 분리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School Choice on School Segregation by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and Economic Status)김혜원65-962017.12.01-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의 부모지원, 교사지원, 진로성숙도, 자기조절학습 및 학교만족도 차이 분석(Latent Mean Analysis on the Parent Support, Teacher Support, Career Matur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Satisfaction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김동심95-1222017.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