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복지 긴축, 어떻게 볼 것인가?(Austerity in UK Social Policy: Glass 'half full' or 'half empty'?) | 마틴 파월 | 5-12 | 2017.12.30 | - | |
영국 복지 긴축의 영향(Impact of Welfare Retrenchment in the UK: From Imequality to Brexit) | 최영준 | 13-26 | 2017.12.30 | - | |
영국의 성인 사회적 돌봄 서비스의 예산 긴축과 그 결과(Austerity in UK Adult Social Care and Its Implications) | 전용호 | 27-36 | 2017.12.30 | - | |
미국 주택바우처 전달체계의 최근 개편 논의와 정책 동향(Recently Proposed Reforms and Debates on HCV's Delivery System) | 진미윤 | 39-52 | 2017.12.30 | - | |
미국의 고용·훈련정책과 견습프로그램 확대를 위한 행정명령(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 안수란 | 53-63 | 2017.12.30 | - | |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 데이비드 커로 | 64-73 | 2017.12.30 | - | |
일본의 의료·개호비 장기추계 방법(Health and Long-term Care Cost Projections) | 도이 다케로 | 74-90 | 2017.12.30 | - | |
핀란드 소득보장정책과 기본소득 실험(Income Security Policies in Finland and Universal Basic Income Experiment) | 신영규 | 93-99 | 2017.12.30 | - | |
아이슬란드의 남녀 동일노동·동일임금 인증제(Equal Status and Equal Rights of Women and Men in Iceland) | 이지현 | 100-103 | 2017.12.30 | - | |
2018년 예산안에 나타난 스웨덴 정부의 사회복지 개혁 방향(Social Welfare Reforms Reflected in the Budget Bill 2018) | 송지원 | 104-108 | 2017.12.3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