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 언어의 어휘 단일화
- 서명/저자사항
- 남북 언어의 어휘 단일화/ 권재일 지음
- 개인저자
- 권재일
- 발행사항
-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 형태사항
- 174 p. : 삽도 ; 24 cm.
- 총서사항
-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 22
- ISBN
- 9788952116512 9788952110299(세트)
- 주기사항
- Abstract: p. 173-174. 찾아보기: p. 171-172 참고문헌: p. 167-170
책 소개
남북한의 교류와 협력은 물론 남북통일에 대비하여 반드시 단일화되어야 한다
우리 민족은 정치적 분단으로 남북이 갈려 서로 다른 언어정책으로 언어생활을 이끌어 가다 보니 우리말과 우리글은 조금씩 다른 모습으로 바뀌어 오늘에 이르렀다. 따라서 민족과 민족 문화의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단일화와 보전이 절대로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뜻에서 그동안 남북한이 어휘 단일화를 위해 노력한 활동을 살펴보고, 그 노력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여, 앞으로 전개될 어휘 단일화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남북한의 어휘 차이를 메울 방법을 모색한다
우리말 어휘 다듬기 활동을 주로 정부기관이 중심이 되어 적극적으로 추진한 북한과는 달리 남한에서는 정부기관뿐만 아니라 민간단체에서 전개하여 왔다. 남한은 느슨하게 어휘 다듬기 활동을 전개한 것에 비해 북한은 정부기관의 강력한 의지로 어휘 다듬기 활동을 전개하였다. 물론 남한은 민간단체에서 시작한 일이었기 때문에 다듬은말을 보급하는 데에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었지만, 북한은 처음부터 정부기관에서 추진하였기 때문에 보급하는 데 훨씬 더 적극적이었다.
남북한 언어학자들이 일구어낸 <겨레말큰사전> 편찬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남북 언어 차이를 음운, 문법, 어휘, 화법 그리고 어문규범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가운데 어휘 차이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남북한에서 그동안 이루어진 어휘 다듬기 활동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남한과 북한이 함께 어휘 단일화를 위해 노력한 활동을 살펴보고 그 성과와 의의를 논의해 보기로 한다.
이어서는 남북한 언어학자들이 여러 차례 직접 만나 논의한 어휘 단일화의 대표적인 성과인 <겨레말큰사전> 편찬에 대해 살펴본다. 아직 마무리되지는 않았지만, 남북한 언어 교류, 좁게는 어휘 단일화 교류의 큰 성과라 평가할 수 있겠다. 남북한의 언어 정책기관이 서로 만나 어휘 단일화를 논의하고, <겨레말큰사전> 편찬을 통해 어휘 단일화를 실현하는 것은, 어느 날 우리 앞에 나타날 국토, 정치, 경제 통일의 날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남북한의 언어규범을 미리 준비해 두는 것으로, 값으로 따지기 어려운 언어학적인 의의일 것이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목차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를 내면서 v
머리말 vii
제1장 연구 개관 / 1
제2장 남북 언어 차이와 어휘 차이의 유형 / 5
1. 개관 5
2. 언어 차이의 실태 8
1) 음운 8
2) 문법 9
3) 어휘 11
4) 화법 13
5) 어문규범 14
3. 어휘 차이의 원인별 유형 16
1) 북한의 방언을 문화어로 삼은 어휘 16
2) 북한에서 남한과 다른 의미로 쓰는 어휘 17
3) 북한에서 분단 이후 새로 만들어 쓰는 어휘 18
제3장 남북한의 어휘 다듬기 활동 / 21
1. 개관 21
2. 한글학회의 국어 순화 활동 22
1) 한글학회와 우리말 도로 찾기 22
2) 한글학회의 각종 어휘 제정 활동 27
3) 국어순화추진회의 활동 30
3. 남한 국어정책기관의 어휘 다듬기 활동 31
1) 국어기본법 31
2) 국어정책기관 32
3) 국립국어원의 어휘 다듬기 활동 35
4) 국립국어원의 북한말 연구 활동 43
4. 북한 국어정책기관의 어휘 다듬기 활동 52
1) 북한의 국어정책기관 52
2) 북한의 주체의 언어 이론과 평양 문화어 59
3) 북한 국어정책기관의 어휘 다듬기 활동 60
5.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의 어휘 다듬기 활동 73
제4장 남북한의 어휘 단일화를 위한 노력 / 83
1. 개관 83
2. 국립국어원과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의 교류 84
1) 남북 언어 국제학술회의 개최 84
2) 남북 어휘 순화 공동 방안 100
3. 남북 공동 <겨레말큰사전> 편찬 108
1) <겨레말큰사전> 개관 108
2) 일반 어휘 단일화 109
3) 외래어 단일화 121
4) 뜻풀이 단일화 125
5) 어문규범 단일화 131
4. 컴퓨터 용어 단일화 138
5. 체육 용어 단일화 145
6. 어휘 단일화를 위한 연구 활동 150
1) 남북 교과서 어휘 151
2) 남북 무역 어휘 155
제5장 맺음말 / 159
어휘 단일화를 위한 앞으로의 바람직한 방향 159
참고문헌 167
찾아보기 171
Abstract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