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경제적 불안정과 중년 남성의 정신건강(Economic Insecurity and Mental Health in the Middle-aged Men)

개인저자
김재원
수록페이지
142-166 p.
발행일자
2018.03.30
출판사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초록
경제적 불안정과 이에 따라 발생하는 경제적 필요와 경제적 자원의 불일치는 개인의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국 사회에서 중년 남성들은 일반적으로 생계부양의 책임을 지고 있으나 상당한 경제적 불안정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불안정을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정의하였고, 한국복지패널조사(Korea WElfare Panel Study) 3차-10차 자료를 이용한 다수준패널분석을 통해 한국 중년 남성들에 대한 경제적 불안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분산으로 측정된 소득 변동성 지표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자살생각에 대한 분석에서는 소득만족도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경제적 불안정의 다양한 지표들의 영향력이 확인되었으므로, 소득 외에 경제적 불안정과 관련된 다른 요인들도 정신건강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제적 불안정의 건강 영향을 추정하였는데, 소득 수준이 아닌 변동성이나 소득에 대한 주관적 인식 등이 특히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힌 초기 연구로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Economic insecurity and resultant inconsistency in economic needs and economic resources are likely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one's mental health. Middle-aged men in Korean society are generally responsible for supporting a living but are exposed to considerable economic instability. The study defined economic insecurity in three stages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ose indicators for mental health of Korea's middle-aged men using the data from KoWEPS 3rd - 10th wave. The analysis shows that all variables other than income volatility B(income dispersion for whole period)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In the analysis on suicidal thoughts, only incom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Having identified the impact of the various indicators of economic instability, it can be recognized that other factors related to economic insecurity besides income may pose a risk to mental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estimated the health effects of economic insecurity, suggesting that the variability of income, not the income level, or subjective perception·emotional responses about one’s economic status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