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미충족의료와 비급여진료비가 과부담의료비 발생에 미치는 영향(Impact of unmet medical need and payment for uncovered services on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 개인저자
- 이혜재
- 수록페이지
- 55-79 p.
- 발행일자
- 2015.09.30
- 출판사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초록
과부담의료비는 가구의 지불능력의 일정 수준을 넘어서는 의료비 지출이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과부담의료비 발생의 결정요인으로 이제까지 고려되지 않았던 미충족의료와 비급여진료비가 나타내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분석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분석에서는 최근 5년 동안의 과부담의료비 발생률을 추정하였고, 두 번째 분석에서는 미충족의료와 비급여진료비가 과부담의료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로짓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과부담의료비 정의를 가구 소득 중 의료비 지출이 10%가 넘는 경우로 내렸을 때, 우리나라 가구 중 과부담의료비를 지출한 가구의 비율은 2008년 16.24%에서 2012년 18.66%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로짓 모형 분석 결과, 미충족의료는 과부담의료비 발생 확률을 높였으며 비급여진료비는 과부담의료비 발생 확률을 높였으나 그 효과가 의료급여 군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쉽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미충족의료와 비급여진료비 변수를 독립변수로 고려함으로써 의료비에 대한 보다 풍부한 정보를 반영하여 과부담의료비의 결정요인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Health expenditure is considered as catastrophic when a household incurs out-of-pocket health payment exceeding pre-defined thresholds of its capacity to pay.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using two undiscovered variables so far: unmet medical need and payment for uncovered services. Korea Health Panel was used to estimate the incidence and determinant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has been increased during last five years. Contrary to hypothesis, unmet medical need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probability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payment for uncovered services showed higher impact 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medical aid group than national health insurance group. Although many studies have explore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variables used in previous studies were limited.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wo new variables 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results can guide future studies and regarding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