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정형외과와 재활의학과 의원의 지역분포 특성 연구(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thopedic and Rehabilitation Clinics)

개인저자
김선미
수록페이지
43-61 p.
발행일자
2015.12.30
출판사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초록
급격한 고령화 추세와 더불어 만성질환 증가로 인해 일차의료 활성화가 주요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의학과와 정형외과 의원을 대상으로 전국 시군구별 분포 현황을 알아보고, 분포와 지역적 특성(인구, 경제, 건강수준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통계청 건강보험통계 자료에서 파악된 2010년 시군구별 재활의학과 및 정형외과 의원들의 수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인구학적 요인 (총인구수, 65세 이상 인구 비율), 건강수준 요인(관절염 진단율), 경제학적 요인(사업체수, 1인당 지방세 징수액)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의원 분포와 인구, 경제, 건강수준 요인들 간의 관계는 선형회귀분석과 지리적 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선형회귀분석의 결과, 재활의학과 의원의 경우 사업체수, 총인구수, 65세 이상 인구 비율에서 유의하였으며 정형외과 의원의 경우 사업체수, 총인구수, 1인당 지방세 징수액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지리적 가중회귀분석에서는 선형회귀분석보다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시군구별 회귀계수를 통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에 지역별, 두 진료과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령화 및 만성질환 보유 인구수의 증가에 따라 의원과 같은 일차의료기관을 활용한 질병관리 및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서 퇴원한 이후에 비용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차의료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자원 할당 및 정책마련에 주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facilitation of primary care has become important issue because of rapid aging trend and increases rate of chronic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tion clinics and orthopedic clinics in Korea,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distribution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numbers of rehabilitation clinics and orthopedic clinics per 100,000 peopl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For independent variables, demographic factors(total number of population, percentage of residents age 65 and older), health status factor(prevalence rate of arthritis), economic factors(number of business, amount of local taxes per pers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Ordinary Least Square(OLS) based Linear Regression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GWR)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of OLS showed that for the rehabilitation clinics, total number of population, number of business, and percentage of residents age 65 and old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the orthopedic clinics, number of business, total number of population, and amount of local taxes per pers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WR showed better model performance than OLS. Also, we found different relationships by regions and clinics through each region’s regression coefficients. As the number of people with chronic disease and percentage of old people increased, importance of disease care and treatments using primary healthcare organization such as clinics is becoming more emphasized. Also, it is important to manage cost effective care after discharging from hospi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on the policy making and resource distribution for primary healthcare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