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정신질환 관련 의료자원 이용의 생산성 변화 분석(Analysis on Productivity Trend of Healthcare Resources Utilization about Mental Health)

개인저자
서은원
수록페이지
91-105 p.
발행일자
2016.03.30
출판사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PI)를 이용하여 정신질환 관련 의료자원 이용의 7년 간 생산성 변화 추이를 지역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단위인 DMU(Decision Making Units)는 16개 광역시·도이며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에서 제공하는 7개년 자료(2007-2013년)를 이용하였다.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 분석에 사용된 투입변수는 정신 의료기관 수, 정신 병상 수, 정신과 전문의 수이며 산출변수는 정신 의료기관에 입원 및 외래로 방문한 환자 수이다. 분석 결과, 생산성은 전반적으로 평균 0.6% 증가하였고 이 생산성 증가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술 변화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 생산성 변화에 큰 차이가 있었는데, 평균적으로 생산성 증가가 크게 나타난 지역은 강원, 서울이었던 반면 생산성 감소가 큰 지역은 인천, 제주였다. 본 연구는 7년 간 우리나라 정신질환 관련 의료자원 이용의 생산성 추이를 지역별로 파악할 수 있었고, 앞으로의 정신질환 관련 의료자원 이용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productivity trend of healthcare resources utilization about mental health by region in Korea. Data were derived from the National Mental Health Commission and this study included 16 metropolitan cities for 7 years from 2007 to 2013. To analyze productivity change us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number of mental hospitals, number of mental hospital beds and number of psychiatrists were used as input variables. Number of inpatients and outpatients were used as output variables. Overall, MPI was increased by 0.6% on average during the period from 2007 to 2013. Technical change had more influence on productivity advance than pure efficiency change and scale efficiency change. There were differences in MPI by regions. Gangwon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increase, while Incheon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decrease. Study results presented that productivity change of healthcare resources utilization about mental health was differed by regions and that technical changes were mainly due to productivity change. Thus, health policy makers will need to prepare interventions to use resources about mental health efficiently by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