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기후변화 폭염으로 인한 초과사망 위험 감소에 대한 통계적 인간생명가치 측정(Economic valuation of statistical life in life loss of heat wave attributed to the climate change)
- 개인저자
- 이수형
- 수록페이지
- 51-78 p.
- 발행일자
- 2016.06.30
- 출판사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초록
기후변화 폭염발생으로 인한 초과사망 위험 감소에 대한 통계적 인간생명가치 산출을 목적으로 서울시 30세이상 75세미만 성인 801명을 대상으로 이중경계 양분선택형 질문법을 이용하여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고 이를 근거로 통계적 인간생명가치를 산출하였다. 추정방법은 지불의사가 전혀없는 경우 0원으로 가정하는 이중경계양분선택형 스파이크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후변화 폭염으로 인한 초과사망 위험 감소를 위한 지불의사금액은 개인 1인당 월 평균 18,210원, 소득을 보정할 경우 월 평균 18,488원으로 산출되었다. 지불의사금액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의 심각성에 따라, 동시에 잠재적인 위협보다는 실제적인 위협으로 인식할수록 지불의사 금액이 높았다. 이런 경향은 기후변화 폭염 취약계층 유무에 상관없이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이를 근거로 통계적 인간생명가치를 구할 경우 3억 6,976만원(95% 신뢰구간 3억 2,5100만원, 4억 1,440만원), 65세이상 폭염취약군의 경우 2억 702만원, 65세미만 비폭염취약군의 경우 4억 2,266만원으로 계산되었다. 이는 현재의 기후변화 취약계층에 초점이 맞춰진 폭염 적응정책 이외에도 일반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인지하고 이행할 수 있는 적응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ation of statistical life (VSL) in mortality risk of heat wave due to climate change. The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DBDC) of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WTP) with 801 adult respondents aged 30 to 75 residing in Seoul. We modified DBDC with adopting spike model to deal with genuine zero willingness to pay. Monthly mean WTP was 18,210 KRW, and monthly mean WTP adjusted by income was 18,488 KRW. Based on the monthly mean WTP, VSL was estimated to 369.8 million KRW (95% CI 325.1 million KRW – 414.4 million KRW). Our results showed that more serious perception regarding the risk of climate change, the higher WTP to reduce risk of heat wave, and in addition, the seriousness was related with respondent perception that threat would be happen to be real. These patterns of WTP showed similar trend regardless of vulnerable or non-vulnerable groups. The study findings suggested that policy adaptation and alternatives of heat wave should include non-vulnerable population as well as vulnerable population on which the adaption policy of heat wave was mainly foc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