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장애노인의 실태와 과제

개인저자
김성희
수록페이지
1-8 p.
발행일자
2013.09.27
출판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전체 인구 고령화와 함께 장애인구 역시 고령화현상을 보이고 있음. 장애노인은 교육수준이 낮고, 독거가구가 22.6%로 전체노인의 독거가구(19.6%)에 비해 많음. 주된 장애유형은 지체장애(51.7%)가 가장 많고, 67%가 경증(4∼6등급)이며 장애발생은 58.7%가 60세 이상 노년기에 발생함. 월평균개인소득은 57만4천원으로 낮고, 주된 개인소득원은 공적이전소득(37%)임 장애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장애발생시기가 늦을수록 나쁜 경향을 보이고 장애기간이 길수록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남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31.0%, 주로 도와주는 사람은 가족(79.5%)이 가장 많음. 가장 많이 이용한 복지사업은 통신 및 교통요금 등의 요금감면사업이고, 장애인복지시설 이용경험은 장애인복지관(6.2%)을 제외하고 5% 미만이며, 복지욕구는 의료보장(41.2%), 소득보장(37.0%)이 가장 큼 향후 장애인복지사업과 노인복지사업간 연계, 장애상태 및 차별적 욕구에 따른 서비스 제공, 건강관리사업 확대, 독거가구 등 취약계층에 대한 우선적인 고려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