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한울아카데미 1334

GIS와 도시분석

서명/저자사항
GIS와 도시분석 / 오규식, 정승현 지음
개인저자
오규식 | 정승현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1
형태사항
455 p. : 삽도,도표 ; 25 cm. + CD-ROM 1장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334
ISBN
9788946053342
주기사항
색인포함
주제어
GIS, 도시분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027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027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단순한 공간정보를 새로운 형태의 고급정보로 바꾸는 'GIS'
다양한 도시분석실습을 통해 알아보는 GIS의 기능과 활용법


국내에서 GIS가 도입된 것은 1980년대 후반이다. 초창기 국내의 GIS분야는 산업이라고 부를 수준의 규모가 아니었다. GIS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도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 CAD(Computer Aided Design) 부문으로 시장이 집중되어 있었다.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의 GIS 분야가 체계적으로 발전되기 시작한 것은 국가 주도의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사업이 추진되면서부터이다. 1995년 대구지하철 공사장에서 도시가스관 파손에 의한 폭발사고로 102명이 사망하고 건물 300여 채가 파손되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지하에 매설된 각종 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파악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그 방안으로 GIS의 구축과 이용이 제시되었다.
- 본문 중

이 책은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정보기술로서 GIS가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는 분석 능력에 있다. GIS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통해 공간정보를 사용자에게 긴요하고 새로운 형태의 고급정보로 바꾸어준다. GIS 분석을 통해 일상의 ‘사실’을 ‘판단’의 차원으로, 단순한 ‘설명’을 문제 해결을 위한 ‘처방’으로 심화시킬 수 있다.
도시 공간의 분석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전에 평면적이고도 피상적이었던 분석이 GIS에 의해 입체적이고도 본질적인 이해의 차원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복잡, 다양해지는 도시의 현상과 변화가 지니는 심층적 의미를 과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게 되었고, 미래를 위한 계획과 정책 수립, 그리고 의사결정이 보다 정확한 논리기반 위에 가능하게 되었다.
이 책은 독자가 도시 공간의 가치를 이해하고 도시의 바람직한 미래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돕기 위해 총 4부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GIS의 기본 이론에 관한 내용으로, 여기에는 GIS의 배경과 역사, 개념 및 정의, GIS와 지도, 자료구조, 공간분석 유형과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제2부에서는 이 책의 실습에 사용되는 GIS 도구인 ArcGIS의 주요 기능을 이해하게 된다. 여기에서 자료의 구축으로부터 편집, 탐색, 표현을 거쳐 도면작성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GIS 작업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제3부와 제4부에서는 GIS에 의한 공간분석을 다양한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해 이해하게 된다. 우선 제3부는 기초적 GIS 공간분석으로 지형 기반 분석과 적지분석을 실습한다. 제4부에서는 보다 발전된 공간분석 기능인 네트워크 분석, 위성영상 활용, 3차원 시뮬레이션 등을 실습하게 된다. 제3부와 제4부의 각 장 혹은 절 말미에는 실습과 관련된 연구사례가 소개되어 일조환경 분석, 주거환경의 질 평가, 토지적합성 분석, 도시 생태네트워크 설정, 도시열섬현상, 도시경관 관리 등에 관한 GIS 분석기법의 실제 적용을 살펴볼 수 있다.
목차

제1부 GIS의 기본 이론
제1장 | GIS의 배경과 역사
제2장 | GIS의 개념 및 정의
제3장 | GIS와 지도
제4장 | GIS의 자료구조
제5장 |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

제2부 GIS 도구의 이해
제6장 | ArcGIS 소개
제7장 | 자료의 구축
제8장 | 자료의 편집
제9장 | 자료의 탐색
제10장 | 자료의 표현
제11장 | 도면작성
제12장 | 실습 프로젝트

제3부 공간분석의 활용 I
제13장 | 지형 기반 분석
제14장 | 적지분석
제15장 | Model Builder

제4부 공간분석의 활용 II
제16장 | 네트워크 분석
제17장 | 위성영상의 활용
제18장 | 3차원 시뮬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