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456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4456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지금의 젊은이들이야말로 앞으로 이루어질 통일의 주역들이기 때문에 적극적이고 현명한 북한연구의 노력이 요청된다. 따라서 이 책이 올바른 북한연구와 통일문제에 관한 젊은이들의 길라잡이로서 새로운 가치와 보람으로서 다가 갈 수 있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대학에서 북한 및 통일문제에 다년간의 강의결과를 바탕으로 해당교수들의 검토·분석을 거쳐, 한 학기 분량의 강의내용으로 집필하였다. 그러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북한문제와 통일문제가 결코 독립적 분야의 학문연구가 아니고 비교적 광범위한 내용의 사회학적 배경지식을 요구하는 학과목이기에 충분한 설명이 모자라 학생(독자)들이 스스로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를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북한문제와 통일문제에 관하여 이제부터는 역사적 사실과 학문적 본질을 토대로 “너와 내가 남남이 아닌 우리와 함께라는 민족 공동체적 공감대”속에서 그야말로 허심탄회하게 마음을 열러 서로 의견을 나눔으로서 “버릴 것은 버리고 취할 것은 취하는”상생의 변증법적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여유와 분명함이 요구된다.
목차
제1부 북한연구의 접근
제1장 북한연구의 방법론
제2장 공산주의 원리와 운용
제2부 북한이해
제3장 북한의 정치
제4장 북한의 외교
제5장 북한의 군사
제6장 북한의 경제
제7장 북한의 사회와 주민생활
제8장 북한의 교육
제9장 북한의 예술과 대중문화
제3부 남북한 관계와 통일
제10장 남북관계의 변화 과정
제11장 분단국의 통일사례와 시사점
제12장 통일문제에 대한 인식
제13장 남북한 통일정책 비교 및 한반도 통일
부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