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22-04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 9: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통합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A Study on Assessment of Social Cohesion Status with Policy

서명/저자사항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 9,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통합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이태진 , 김동진 , 곽윤경 , 이원진 , 우선희 , 김지원
대등서명
A Study on Assessment of Social Cohesion Status with Policy
발행사항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22
형태사항
344p. : 삽화, 도표 ; 26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22-04
ISBN
9788968278686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URL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M052884대출가능-
자료실EM052885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M05288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M05288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이 보고서는 코로나19가 가져온 사회·경제적 파장과 그 결과가 개인과 가족에 미친 사회경제적 및 신체정신적 영향을 탐색해보고 이들과 사회통합 간의 관계를 가늠함으로써 사회통합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의 영향에 관한 사회조사(‘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에 비해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는 높아졌지만 사회통합, 신뢰, 지지, 공정성 등 사회구성원으로서 안정적이고 안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심리적 상태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이후 두 차례의 대선을 치르면서 사회통합도와 사회신뢰도는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비정규직, 일용근로자, 특수고용직, 사업주/자영업자, 저소득 근로자의 경제적 충격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코로나19 발병 이전에 비해 취약계층(신체건강, 정신건강, 사회적 경제적 취약 등)에서 상대적으로 건강이 더 나빠졌으며 우울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뢰관계를 재구축할 수 있는 범사회적 정책 방향 제시와 사회적 약자 지원 및 공공성에 대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고,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에 형평성 개념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5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이론적 배경 25 제1절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나타나는 취약성 27 제2절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과 사회통합 및 복지정책 인식 30 제3절 코로나19 취약계층과 건강불평등 31 제4절 코로나19 이후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영향요인 34 제3장 코로나19 전후 삶의 만족도와 사회통합, 정부대응 인식 변화 37 제1절 들어가며 39 제2절 주관적 행복과 삶의 만족도 41 제3절 사회통합 인식 50 제4절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및 향후 지원 방향 인식 87 제5절 소결 100 제4장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과 사회통합 및 복지정책 인식 105 제1절 들어가며 107 제2절 분석 방법 108 제3절 분석 결과 112 제4절 소결 142 제5장 코로나19로 인한 건강영향과 사회통합을 위한 건강정책 인식 145 제1절 들어가며 147 제2절 연구 방법 147 제3절 분석 결과 149 제4절 소결 173 제6장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및 사회갈등 영향요인 175 제1절 들어가며 177 제2절 연구 방법 178 제3절 분석 결과 182 제4절 소결 205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207 제1절 주요 결과 및 함의 209 제2절 정책 제언 219 참고문헌 223 부록 229 [부록 1]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표본설계 229 [부록 2]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설문지 245 [부록 3]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기초분석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