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22-22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의 노동시장 성과
Labor Market Outcomes of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s in Korea
- 서명/저자사항
-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의 노동시장 성과 / 함선유 , 김현경 , 한겨레 , 이정희
- 대등서명
- Labor Market Outcomes of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s in Korea
- 발행사항
-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22
- 형태사항
- 277p. : 삽화, 도표 ; 24cm
- 총서사항
- 연구보고서 2022-22
- ISBN
- 9788968278860
- 주기사항
- 참고문헌 수록
- URL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EM05300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M05300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EM05300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M05300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9
제2절 연구 대상 12
제3절 연구 내용 18
제2장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 제도의 현황과 최근 변화 21
제1절 들어가며 23
제2절 보건 부문 일자리 관련 법·제도 26
제3절 복지 부문 일자리 관련 법·제도 44
제4절 소결 60
제3장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의 규모와 일자리 질 67
제1절 들어가며 69
제2절 보건복지 분야 자격자와 활동 인력 추이 70
제3절 지역별고용조사를 통해 본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 89
제4절 소결 104
제4장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 확대와 노동시장 변화 109
제1절 들어가며 111
제2절 선행연구 113
제3절 임금 분포별 일자리 증감 115
제4절 일자리 증가의 노동시장 영향 137
제5절 소결 160
제5장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의 특성과 임금 설명 요인 163
제1절 들어가며 165
제2절 선행연구 166
제3절 분석 방법 172
제4절 분석 결과 177
제5절 소결 202
제6장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 이동과 이직 요인 205
제1절 들어가며 207
제2절 선행연구 208
제3절 연구 방법 209
제4절 분석 결과 211
제5절 소결 241
제7장 결론 243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245
제2절 정책적 제언 250
참고문헌 255
부록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