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EM053034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M05303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EM05303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M05303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8
제2장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운영 현황 15
제1절 코로나19 상황에서 수행한 비대면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17
제2절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운영 관련 선행연구 고찰 33
제3장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체감도 조사 개요 45
제1절 조사 설계 47
제2절 표본 설계 49
제3절 자료 수집 59
제4장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체감도 조사 결과 65
제1절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67
제2절 건강증진사업 인지도 68
제3절 건강증진사업 참여도 76
제4절 건강증진사업 만족도 85
제5절 생애주기별 건강증진사업의 주관적 평가 107
제6절 보건소 이용 및 기능 115
제7절 연도별 종합 체감도 산출 결과 121
제8절 지역별 종합 체감도 산출 결과 123
제5장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개선을 위한 방향성 탐색: 질적연구 169
제1절 질적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1
제2절 질적연구방법 176
제3절 질적연구결과 182
제6장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성과 및 향후 방향 221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223
제2절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개선방향 228
참고문헌 235
부록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