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도서다른상상 클래식 1
(살면서 꼭 한 번은) 논어
- 서명/저자사항
- (살면서 꼭 한 번은) 논어 / 임성훈 지음
- 개인저자
- 임성훈
- 발행사항
- 서울 : 다른상상, 2021
- 형태사항
- 292 p. ; 21 cm
- 총서사항
- 다른상상 클래식 1
- ISBN
- 9791190312417
- 주제어
- 논어(사서)[論語]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5346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5346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삶은 배움을 통한 성장,
공자가 강조한 배움을 지속하는 삶에 대하여
《논어》는 사서 중에서도 '삶에서 어디에 가치를 두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읽으면서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고, 올바른 방향을 향한 질문을 던질 수 있는 지침서다. 정치, 윤리, 도덕, 교육, 수양, 관계, 신뢰 등 삶에서 중요한 가치들에 대해 논하며 우리를 깨달음으로 인도한다. 삶의 어느 순간에 읽어도 깨우칠 수 있고, 다시금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얻는다. 이 가운데서 공자는 무엇보다 '배움'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논어》의 첫 장 '학이學而'부터 배움으로 삶을 확장하는 것에 대해 다루며, 배움을 통해 인(仁), 예(禮), 덕(德), 중용(中庸)에 닿을 수 있다고 말한다. 더욱이 사람을 구분 짓지 말고 배울 점이 있으면 누구든 스승으로 삼고 배움을 찾는 삶을 실천하라고 한다. 그것이 곧 스스로 가치 있는 삶을 정의하고 제대로 살아가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모든 것을 배움으로 삼으면 배움이 넘친다. 하지만 편견을 가지면 어디에서도 배움을 찾을 수 없다.
2,500년 전의 지혜를 마음에 새기고
다시 나아간다는 것
공자의 말이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이유는, 일찍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가 재물이나 지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을 채우고, 배움을 실천하며, 남에게 나누는 데 있다는 공자의 깨달음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깨달음에 닿기까지의 과정과 실천의 발자취를 오롯이 담은 것이기 때문이리라. 그러나 제아무리 좋은 말이라도 어떻게 시대에 맞게 해석하고 받아들일지 또한 중요한 문제다. 그러한 면에서 볼 때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서 《논어》의 쓸모는 무엇일까? 지금 저마다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것은 마음을 채울 수 있는, 마음에 새길 수 있는 한마디다. 마음이 힘들고 살기가 팍팍할수록 나의 소명은 무엇인지, 내 삶의 현주소는 어디인지 선명하게 적어두고 곰곰 되새겨야 한다. 인생의 위기를 극복할 힘은 거기에서 비롯한다. 그러므로 《논어》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반드시 읽어야 할 고전인 것이다.
공자가 강조한 배움을 지속하는 삶에 대하여
《논어》는 사서 중에서도 '삶에서 어디에 가치를 두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읽으면서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고, 올바른 방향을 향한 질문을 던질 수 있는 지침서다. 정치, 윤리, 도덕, 교육, 수양, 관계, 신뢰 등 삶에서 중요한 가치들에 대해 논하며 우리를 깨달음으로 인도한다. 삶의 어느 순간에 읽어도 깨우칠 수 있고, 다시금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얻는다. 이 가운데서 공자는 무엇보다 '배움'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논어》의 첫 장 '학이學而'부터 배움으로 삶을 확장하는 것에 대해 다루며, 배움을 통해 인(仁), 예(禮), 덕(德), 중용(中庸)에 닿을 수 있다고 말한다. 더욱이 사람을 구분 짓지 말고 배울 점이 있으면 누구든 스승으로 삼고 배움을 찾는 삶을 실천하라고 한다. 그것이 곧 스스로 가치 있는 삶을 정의하고 제대로 살아가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모든 것을 배움으로 삼으면 배움이 넘친다. 하지만 편견을 가지면 어디에서도 배움을 찾을 수 없다.
2,500년 전의 지혜를 마음에 새기고
다시 나아간다는 것
공자의 말이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이유는, 일찍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가 재물이나 지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을 채우고, 배움을 실천하며, 남에게 나누는 데 있다는 공자의 깨달음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깨달음에 닿기까지의 과정과 실천의 발자취를 오롯이 담은 것이기 때문이리라. 그러나 제아무리 좋은 말이라도 어떻게 시대에 맞게 해석하고 받아들일지 또한 중요한 문제다. 그러한 면에서 볼 때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서 《논어》의 쓸모는 무엇일까? 지금 저마다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것은 마음을 채울 수 있는, 마음에 새길 수 있는 한마디다. 마음이 힘들고 살기가 팍팍할수록 나의 소명은 무엇인지, 내 삶의 현주소는 어디인지 선명하게 적어두고 곰곰 되새겨야 한다. 인생의 위기를 극복할 힘은 거기에서 비롯한다. 그러므로 《논어》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반드시 읽어야 할 고전인 것이다.
목차
학이 學而 진정한 배움을 행하려면
위정 爲政 덕을 근본으로 하려면
팔일 八佾 예의 본질을 알려면
이인 里人 생각과 처신을 가다듬으려면
공야장 公冶長 올바른 덕을 실천하려면
옹야 雍也 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술이 述而 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태백 泰伯 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자한 子罕 덕과 노력을 쌓으려면
향당 鄕黨 항상 깨어 있으려면
선진 先進 자기 앞의 삶을 마주하려면
안연 顏淵 인에 대해 탐구하려면
자로 子路 이끄는 자가 되려면
헌문 憲問 군자의 덕을 갖추려면
위령공 衛靈公 군자의 도리를 깨우치려면
계씨 季氏 경계해야 할 것을 판단하려면
양화 陽貨 사람을 보는 기준을 세우려면
미자 微子 더불어 사는 삶을 살려면
자장 子張 모든 것을 배움으로 삼으려면
요왈 堯曰 중용의 도리를 따르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