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보훈교육연구원 보훈문화총서 12

아시아의 보훈과 민주주의

서명/저자사항
아시아의 보훈과 민주주의 / 서운석, 이경묵, 심주형, 이영진, 전수미, 임수진 지음
개인저자
서운석 1969- | 이경묵 1971- | 심주형 1973- | 이영진 1975- | 전수미 1982- | 임수진
발행사항
서울 : 모시는사람들, 2021
형태사항
229 p. : 삽화, 도표 ; 21 cm
ISBN
9791166290770 9791166290114 (세트)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5382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5382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우리 사회뿐 아니라 아시아의 여러 사회를 조망하며 각 사회에서 나타나는 보훈 행위의 모습과 그 안에서 살펴볼 수 있는 민주의 가치를 살펴본다.
우리 사회는 식민, 분단, 전쟁, 독재 등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경험하며 사회 내부 민주가치가 주요하게 부상하고 발전할 수 있었다. 민주 가치를 수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공헌하거나 희생된 인사들은 ‘민주화유공자’로 지정되어 보훈대상자 범주에 포함되어 국가로부터의 예우와 혜택을 제공받는다. 우리 사회는 오랜 기간 경직된 사회구조와 권위주의에서 벗어난 개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조화롭게 보장받는 사회를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고, 민주 가치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보훈 영역 속 민주 가치의 포함을 통해 나타나게 되었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 민주주의와, 특히 보훈 영역 속 민주 가치의 현 모습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이러한 고찰 속에서 아시아 여러 사회 속 보훈과 민주의 가치를 살피며 우리 사회의 모습을 돌이켜보고자 이 책을 출판하게 되었다.
『아시아의 보훈과 민주주의』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았다. 제1장 “한국의 보훈과 민주주의”(서운석)에서는 우리 사회의 보훈행사, 원칙, 정책을 정리하였고, 제2장 “애국, 보훈, 그리고 민주주의”(이경묵)에서는 보훈 영역 속 민주의 가치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한국사회를 비교ㆍ설명하였다. 제3장 “‘공이 있는 사람들의 은혜를 알자’”(심주형)에서는 베트남 사회 내부 보훈 가치와 정책을 정리하여 설명하였고, 제4장 “‘영령’에서 ‘평화의 초석’으로”(이영진)에서는 일본사회의 보훈, 그 중에서도 전후 일본의 위령과 일본 유족회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5장 “방어적 민주주의와 남한의 보훈”(전수미)에서는 우리 사회 자유민주 기본질서를 중심으로 방어적 민주주의를 재해석하여 남북한 관계 속 우리 사회 민주와 보훈을 살펴보았고, 제6장 “국가보훈 속 ‘민주’ 영역의 고찰”(임수진)에서는 개념사적 차원에서 보훈 개념 속 ‘민주’ 가치를 살피며 우리 사회 보훈 영역 속 민주 가치의 인식과 발전에 대해 설명하였다.
보훈의 개념 속 ‘호국’과 ‘독립’의 가치는 해방 이후 우리 사회에서 비교적 오랜 역사성을 지니고 사회 구성원의 인식 속 주요한 가치로서 존재해 왔다. 이는 사회 외부 존재로서 우리 사회를 위협한 명확한 대항 세력에 대한 인지를 통해 확인받을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민주’ 가치의 경계구획은 불명확하다. 이는 공동체 구성원 사이 권력의 작동과 개인 자율성의 보장을 중심으로 그 경계가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할 때, 우리 사회 내 ‘민주’ 또는 ‘민주주의’의 개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정치이념적으로 편향되거나 이익집단을 대변하기 위한 논리적 근거가 아니라, 우리 사회와 국가의 근간이자 목표인 자유로운 민주사회 건설이 구체적으로 무엇이고, 이를 위한 유공자들의 희생은 무엇이었으며, 희생을 감수한 이들의 목적은 정확히 어디에 있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생각하고 논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의 보훈과 민주주의』에서 소개된 아시아의 여러 사회들에서 나타나는 보훈과 민주의 연결고리를 통해 우리 사회 보훈과 민주주의의 모습을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아시아의 보훈과 민주주의』를 읽으며 현재의 발전된 우리 사회를 만든 보훈의 역사와 그 속에서 발전하는 민주의 가치를 이해하고, ‘나’와 함께 ‘우리’ 모두가 자유롭고 평등하고 안전하게 살아가기 위한 미래 우리 사회를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서문: 보훈, 우리 모두의 것이기 위하여

한국의 보훈과 민주주의: 민주 영역의 확장을 위하여_ 서운석
1. 들어가는 글
2. 민주 관련 보훈 기념행사
3. 우리 사회 민주의식과 관련한 보훈 원칙
4. 민주 관련 보훈정책 발전 방향
5. 나오는 글

애국, 보훈 그리고 민주주의: 인도네시아와 한국_ 이경묵
1. 서론
2. 의지미래의 대상으로서 보훈
3. 사례 1: 인도네시아에서 국가 만들기
4. 사례 2: 포천 ‘독수리유격대’를 통해 본 지연된 보훈
5. 결론: 애국/보훈의 지속가능성

“공이 있는 사람들의 은혜를 알자”: 베트남 ‘유공자’ 보훈정책 변화의 역사_ 심주형
1. 들어가며
2. 베트남 보훈정책의 역사적 형성과 변화
3. 결론

‘영령(英靈)’에서 ‘평화의 초석’으로: 전후 일본의 위령과 일본유족회의 탄생_ 이영진
1. 들어가며
2. 전시기 일본의 영령 제사와 유족
3. ‘전국전몰자추도식’: 일본유족회의 탄생과 전후 위령의 완성
4. 국가는 전쟁 피해자에게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 은급 및 원호제도를 둘러싼 물음
5.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다는 것

방어적 민주주의와 남한의 보훈_ 전수미
1. 방어적 민주주의에 대한 고찰
2. 방어적 민주주의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3. 방어적 민주주의와 남한의 보훈
4. 맺음말

국가보훈 속 ‘민주’ 영역의 고찰_ 임수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