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2024년 5월 TOP 10

직접해보는 사례연구

서명/저자사항
직접해보는 사례연구 / Jan Dul, Tony Hak 공저 ; 안동윤, 이희수 공역
개인저자
안동윤 | Dul, Jan | Hak, Tony | 이희수 1960-
발행사항
서울 : 피와이메이트, 2017
형태사항
xxviii, 296 p. : 삽화, 도표 ; 25 cm
ISBN
9791187010104
주기사항
권말부록: 측정 등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원서명
Case study methodology in business research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5426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5426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서문
사례연구 방법을 대하는 관점은 둘로 나뉜다. 하나는 사례연구를 널리 사용하려는 긍정적 관점이다. 이 책의 저자와 여러 동료 학자들은 사례연구 방법을 강력한 연구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미국과 유럽의 여러 권위 있는 학술지에도 사례연구 논문들이 실리고 있다. 여러모로 볼 때 사례연구는 엄격한 연구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이와는 달리 사례연구를 바라보는 부정적 관점도 있다. 일부 학자들은 사례연구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갖는다. 이들은 사례연구는 탐색적 연구와 같은 다소 협소한 영역에 한정해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작 서로 반대되는 두 개의 관점보다 더 큰 문제는 사례연구 방법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혼란이다. 사례연구 방법은 이론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실제에 대한 것인가? 사례연구 방법은 이론 수립(theory-building) 연구에 사용해야 하는가? 아니면 이론 검증(theory-testing) 연구에 사용해야 하는가? 이런 질문들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들이 엄연히 존재한다.

그동안 탐색적 사례연구 방법은 이론 수립에 큰 공헌을 하였다. 사례연구의 과정은 시간이 걸리고 숙련된 면접자를 필요로 한다. 소수의 사례에서 일반화가 가능한 결론을 조심스럽게 도출해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의 엄격성을 확신시킬 수만 있다면 사례연구의 결과는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사례연구는 이론적 모형이나 엄격한 설문지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대신에 새롭고 창의적인 통찰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사례연구를 통해 새로 개발한 이론은 최종 소비자라 할 수 있는 현장 실무자들로부터 타당성이 높다는 인정을 받는다. 자료원을 다양화 하고 방법론적 다각화를 확보하면 타당도는 더 향상된다.

저자들의 전공인 경영관리 분야에서는 린(lean) 생산방식에서 생산 전략에 이르기까지 많은 혁신적인 개념과 이론들이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개발되었다. 끝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사례연구 방법은 이론을 풍부하게 할뿐 아니라 연구자 자신을 성장하게 한다는 점이다. 현장 연구를 할 때 연구자는 실제 문제를 만난다. 연구자는 조직 내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만나고 이들이 갖고 있는 창의적인 통찰과 다양한 맥락을 접하면서 연구에 필요한 도움을 받는다. 경영학 분야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만들어지는 양상이 점점 변하고 있다. 새 아이디어는 현장에서 멀리 있는 학자들이 아니라, 현장 가까이에서 다양한 사례와 함께 일하는 사람들, 즉 경영 컨설턴트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사례연구는 ‘어떻게’와 ‘왜’라는 질문을 탐구하는데 적합할 뿐 아니라 새로운 이론과 아이디어를 개발하는데도 적합하다.

사례연구 방법을 다룬 중요한 연구 논문과 책이 많이 있기는 하나 대부분 탐색적 사례연구를 다루고 있고 이론 수립 연구에 초점을 둔다. 그에 비해 이 책에서는 폭넓고 체계적으로 사례연구 방법을 바라보고 있다. 실제 지향 연구와 이론 지향 연구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례연구 방법의 차이에 대해서도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다. 특히, 이론 수립 연구 외에도 일반화에 직결되는 두 개의 연구 영역, 즉 이론 검증(theory-testing) 연구와 반복연구(replication)를 비중 있게 설명한다. 연구자라면 자신의 무기고에 성능 좋은 무기를 비축했다고 뿌듯해할 만하다. 사례연구 방법은 연구 대상에 대한 예비 분석도 없이 일단 기업을 방문하고 보는 산업 시찰이 아니다. 사례연구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엄격성을 지켜야 한다. 사례연구를 철저하게 수행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강건성과 적합성을 모두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당신이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고자 할 때 연구의 엄격성을 높여줄 지침서가 될 것이다.

런던경영대학원(London Business School)
Operations and Technology Management 교수
Chris Voss


역자 서문
Case Study DIY를 옮기는 즐거움

“당신은 왜 사례연구를 연구방법으로 선택했습니까?”라는 질문에 연구자는 어떤 답변을 해야 하나? 이 책의 번역은 사례연구자가 자신의 연구 전략에 확신을 갖고 전념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시작되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례연구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위상은 그리 높지 않다. 학위용 논문이나 학술지 논문을 심사하다 보면 연구자가 왜 사례연구를 연구 방법으로 선택했는지에 대한 정당성이 부족한 것을 많이 발견한다. 선행 연구에 대한 탐색이 부족하다보니 학술 연구가 아니라 현장 연구 같기도 하고, 이론과의 연계성도 충분치 않아 논문으로서 어떤 가치가 있는지 이해가 안 되는 경우도 많다. 무엇보다 사례연구의 논리와 형식에 대해 연구자나 조언을 주는 심사위원들이나 서로 생각이 달라 곤혹스럽기도 하다.
그럼에도 사례연구 중에는 이론 개발에 크게 기여한 좋은 연구가 많아지고 있고, 최근 들어서는 사례연구 방법론도 점차 개념적 합의의 진척을 보이면서 연구의 형식 또한 체계화 되고 있어 참으로 다행이다. 어찌 보면 연구 방법으로서의 사례연구는 이제 막 출발하기 시작한 늦깎이 학생에 가깝다. 만학도이지만 가야 할 길이 창창하여 유망하다. 그 잠재력을 꽃 피울 여러 길을 찾아야 하는 출발선에 서 있는 심정이다.

사례연구 방법에 대한 교육과 서적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 책은 가뭄에 단비 같다. 저자들이 책의 서문에서 밝혔듯이 사례연구 방법을 하나의 독자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정립하기 위해 체계화 하였고, 무엇보다 사례연구로 학술 논문을 작성하는 연구자들에게 값진 조언을 주고 있다. 많은 사례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연구 방법의 정당성을 주장하면서 로버트 인(Robert Yin)의 책을 많이 인용한다. 로버트 인이 사례연구 방법의 과학성과 실증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면, 이 책은 실증적 사례연구를 어떻게 수행할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해 준다. 즉 이 책은 사례연구 방법이 다른 연구 전략과 구분되는 독특한 특성을 담고 있으며, 연구 설계의 절차와 수행 방법을 정교한 흐름도로 제시하고 있다. 마치 DIY(Do It Yourself) 제품의 조립 매뉴얼처럼 하나하나 따라할 수 있도록 친절한 매뉴얼로 만들어져 있다.

우리는 사례연구 방법이 좀 더 과학적 엄격함에 가까이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체계화 되고 더 구조화되면서 실증적 연구로서의 강건성을 주장해야 한다고 여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그런 노력을 시작하도록 힘을 보태줄 것이다. 사례연구자가 지닌 직관에 좀 더 과학적인 접근이 더해짐으로써 이론을 강화하기도 하고 기존의 통설을 엎는 창의적인 연구 결과들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해본다. 이 기대감이 이 책의 지난한 번역을 가능케 한 원천이었음을 독자들과 나누고자 한다.

안동윤․이희수


이 책과 인용한 사례연구의 저자 소개

Koen Dittrich(제2장, 제5장의 5.2)
Koen Dittrich는 네덜란드의 Masstricht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를, 동 대학과 노르웨이의 Oslo 대학에서 과학과 기술 전공으로 석사를, 네덜란드의 Delft 공과 대학에서 기술, 정책, 경영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RSM Erasmus 대학의 경영학과에서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혁신 프로세스의 조직과 관리, R&D 네트워크, 혁신을 위한 협력에 관한 연구에 주로 관심을 갖고 있다.
http://www.rsm.nl/kdittrich

Jan Dul
Jan Dul은 네덜란드의 Twente 공과 대학에서 기계공학으로 석사를, 미국의 Vanderbilt 대학에서 의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RSM Erasmus 대학에서 공학과 인간 요소(Human factors) 분야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제품과 프로세스에서의 인간 중심 설계이다. 특히 운영 시스템에서의 인간 요소와 혁신에서의 종업원 창의성에 관심이 많다.
http://www.rsm.nl/jdul

Jan Van den Ende (제 5장의 5.4)
Jan Van den Ende은 네덜란드의 Delft 공과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RSM Erasmus 대학의 기술 경영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연구 관심은 주로 제품과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의 조직과 관리에 있다. 그는 ICT에서의 체제적 혁신에 관한 연구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Van den Ende은 여러 저서의 저자이기도 하며,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IEEE Transaction on Engineering Management, Business History, R&D Management,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와 같은 학술지에서 연구 정책에 관한 학술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http://www.rsm.nl/jende

Tony Hak이 책과 인용한 사례연구의 저자 소개
Tony Hak는 네덜란드의 로테르담에 있는 Erasmus 의료 센터에서 의료사회학 석사를, Amsterdam 대학에서 사회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RSM Erasmus 대학에서 연구 방법론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관심을 갖는 연구 주제는 비즈니스 서베이의 반응 프로세스, 질문지 사전 검증, 질적 연구 방법이다.
http://www.rsm.nl/thak

Murthy Halemane(제11장의 11.2)
Murthy Halemane는 네덜란드 Delft 공과 대학에서 공학박사를 받았고, 현재 RSM Ersmus 대학에서 기술과 혁신 경영학과의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기업의 역량 분석과 비즈니스 전략에 맞춘 기술 시너지 개발이 주된 연구 주제이다. 현재는 이들 주제를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에까지 확장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 중이다.
http://www.rsm.nl/mhalemane

Raf Jans(제2장)
Raf Jans는 벨기에 루뱅 대학교(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에서 Operation Research에 특화된 응용경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RSM Erasmus 대학의 운영관리(Operation Management)의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된 관심 분야는 운영관리 분야에서 의사결정과 위험 분석, 최적화 모델링, 그리고 이들 분석과 모델을 산업 문제에 응용하는 것이다. 현재는 상품기획 문제에 주로 초점을 두고 있다.
http://www.rsm.nl/rjans

Felix Janszen(제11장의 11.2)
Felix Janszen은 Erasmus 대학에서 생화학 분야의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는 RSM Erasmus 대학의 기술경영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기술경영, 혁신, 복잡계 이론, 컴퓨터 모델링이다.
http://www.rsm.nl/fjanszen

Ferdinand Jaspers(제5장의 5.4)
Ferdinand Jaspers는 RSM Erasmus 대학에서 경영학 석사를 받았고, 동 대학의 박사과정에서 수강하고 있다. 관심 있는 연구 분야는 유형학 이론과 복잡한 제품 상황에서의 혁신에 대한 것이다.
http://www.rsm.nl/fjaspers

Hans Quak(제6장의 6.2 그리고 제7장의 7.2)
Hans Quak는 RSM Erasmus 대학에서 경영학 석사를 받고, 현재는 동 대학의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그의 주된 연구 주제는 도시지역에서의 제품 이동, 도심형 물류, 소매 배송, 지속가능성이다.
http://www.rsm.nl/hquak

Florens Slob(제11장의 11.4)
Florens Slob은 RSM Erasmus 대학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석사학위 논문 주제는 기업의 표준화에 대한 것이었다. 그는 현재 네덜란드 아인트호벤에 있는 Van Gansewinkel 그룹의 폐기물 관리 서비스 전문가이자 프로젝트 관리자로 근무하고 있다.

Wendy Van der Valk(제9장의 9.2)
Wendy Van der Valk는 네덜란드 Eindhoven 공대에서 산업공학과 경영과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RSM Erasmus 대학에서 박사과정에 있다. 그녀는 비즈니스 서비스 구매와 개발 과정에 구매자-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http://www.rsm.nl/wvalk
Henk J. De Vries(제11장의 11.4)
Henk J. De Vries는 네덜란드의 Delft 공대에서 측지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Erasmus 대학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RSM Erasmus 대학에서 표준화 분야의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연구 및 강의 주제는 비즈니스 관점에서의 표준화에 대한 것이다. 저서로는 ‘표준화; 국가 표준 조직에 관한 사업적 접근(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9)’이 있다.
http://www.rsm.nl/hdevries

Finn Wynstra(제9장의 9.2)
Finn Wynstra는 스웨덴의 Uppsals 대학에서 면허학위(Licentiate-degree)를 받았으며, 네덜란드의 Eindhoven 공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현재 RSM Erasmus 대학에서 구매와 공급경영분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연구는 주로 공급과 혁신 프로세스의 통합, 질적 연구 방법론과 (실험기반) 설문조사 방법의 결합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는 두 권의 책, ‘Buying Business Services’(Wiley, 2002)와 Developing Sourcing Capabilities(Wiley, 2005)를 저술하기도 했다.
http://www.rsm.nl/fwynstra


이 책의 활용 안내
이 책을 교과서로 이용할거면 앞에서 뒤까지 차례대로 읽는 것이 좋다. 1장과 2장을 건너뛰고 3장부터 시작해도 괜찮다. 이 책을 연구 방법의 지침서로 사용하려면 흐름도의 연구 단계를 따라보는 것이 좋다. 이때는 [표 1.4] “학생을 위한 제언”과 부록 3의 “흐름도”를 참조하기 바란다. 흐름도의 각 단계마다 해당 내용이 책의 어디에 나오는지 알려준다. 만약 특정 주제에 더 관심을 가진다면 [표 1.3]과 [표 1.5]에서 관심 있는 내용 위주로 찾아보는 방법도 있다.

다른 연구방법론과 마찬가지로 사례연구 방법도 개념을 일관성 있게 쓰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이 책은 개념들을 부록 5에 있는 용어사전에 모두 모았고 각 개념마다 정의를 달아 두었다. 책을 읽다보면 굵고 진한 글꼴의 단어가 나오는데 이는 부록의 용어사전을 참조하라는 뜻이다. 이 책에서는 특정 용어를 다른 책에 있는 용어의 뜻과 다르게 쓰고 있다. 만약 굵고 진한 글꼴의 단어를 보게 되면 반드시 용어사전에서 해당 정의를 확인하기 바란다.
목차

제1부 서론
제1장 책의 목적과 개요
3
1.1 사례연구 방법의 정의 3
1.2 책을 쓴 목적 6
1.3 책에 대한 개관 8
1.3.1 책의 구조 8
1.3.2 제2장: 사례연구 문헌 조사 8
1.3.3 제3장: 연구의 원리 8
1.3.4 제4장: 이론 검증 연구 9
1.3.5 제5~7장: 이론 검증 사례연구 9
1.3.6 제8~9장: 이론 수립 연구 10
1.3.7 제10~11장: 실제 지향 연구 10
1.4 책을 활용하는 방법 10
1.4.1 주요 주제 11
1.4.2 학생들을 위한 제안 11
1.4.3 용어사전과 흐름도 13
참고문헌 16

제2장 사례연구 문헌 조사 17
2.1 경영학에서의 사례연구 18
2.1.1 문헌 선정 방법 18
2.1.2 전략 분야 사례연구 19
2.1.3 재무 분야 사례연구 19
2.1.4 마케팅 분야 사례연구 20
2.1.5 인적자원관리 분야 사례연구 20
2.1.6 운영관리 분야 사례연구 20
2.1.7 사례연구 유형 21
2.2 사례연구 방법론에 대한 논의 21
2.2.1 사례연구 목표 22
2.2.2 사례연구 지침 22
2.2.3 사례연구 평가 23
2.3 결론차 례
24
참고문헌 26

제3장 연구의 원리 28
3.1 이론 지향 연구와 실제 지향 연구 28
3.1.1 이론 지향 연구와 실제 지향 연구의 연구 목적 28
3.1.2 오리엔테이션: 이론 지향 연구와
실제 지향 연구 사이에서의 선택 31
3.2 이론 지향 연구의 원리 32
3.2.1 이론 32
3.2.2 이론 지향 연구: 이론 개발 기여 36
3.2.3 반복연구 38
3.2.4 대표성, 외적 타당도, 일반화가능성 43
3.2.5 이론 지향 연구를 위한 탐색 46
3.2.6 이론 개발에의 공헌 49
3.3 실제 지향 연구의 원리 50
3.3.1 실제 50
3.3.2 실제 지향 연구: 실무자 지식에의 공헌 51
3.3.3 실제 지향 연구의 탐색 53
3.3.4 실무자 지식의 공헌 56
참고문헌 57


제2부 이론 검증 연구
제4장 이론 검증 연구
61
4.1 이론 검증 연구의 연구 목적 62
4.2 이론 검증 연구에서 명제의 구체화 63
4.2.1 충분조건에 관한 명제 65
4.2.2 필요조건에 관한 명제 66
4.2.3 결정적 관계에 관한 명제 68
4.2.4 확률적 관계에 관한 명제 69
4.3 현실 세계에서의 명제 활용 70
4.4 이론 검증 연구의 연구 전략 74
4.4.1 충분조건의 명제 검증 전략 75
4.4.2 필요조건의 명제 검증 전략 77
4.4.3 결정적 관계의 명제 검증 전략 78
4.4.4 확률적 관계의 명제 검증 전략 79
4.4.5 복잡한 개념 모형에 대한 검증 81
4.5 결론 및 시사점 83
4.6 요약 84
참고문헌 86

제5장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검증 사례연구 87
5.1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검증 방법 87
5.1.1 서론 87
5.1.2 후보 사례 88
5.1.3 사례 선정 89
5.1.4 가설 90
5.1.5 측정 91
5.1.6 자료 제시 91
5.1.7 자료 분석 91
5.1.8 이론적 시사점 92
5.1.9 반복연구 전략 93
5.2 사례연구 1: 이론 검증 연구(필요조건 검증)
혁신 프로젝트의 성공에서 협력의 특징에 관한 이론 검증 96
5.2.1 서론 96
5.2.2 이론 96
5.2.3 연구의 목적 100
5.2.4 연구 전략 100
5.2.5 후보 사례 100
5.2.6 사례 선정 101
5.2.7 가설 102
5.2.8 측정 102
5.2.9 자료 제시 103
5.2.10 자료 분석 108
5.2.11 이론적 시사점 109
5.2.12 반복연구 전략 109
5.3 사례연구 1의 방법론 성찰 110
5.3.1 이론 110
5.3.2 연구 목적 111
5.3.3 연구 전략 111
5.3.4 후보 사례 112
5.3.5 사례 선정 113
5.3.6 가설 113
5.3.7 측정 113
5.3.8 자료 제시 114
5.3.9 자료 분석 114
5.3.10 이론적 시사점 115
5.3.11 반복연구 전략 115
5.4 사례연구 2: 이론 검증 연구(필요조건 검증)
성공적 제품 혁신을 위한 이상적인 조직 유형 이론에 대한 검증 116
5.4.1 서론 116
5.4.2 이론 117
5.4.3 연구 목적 120
5.4.4 연구 전략 120
5.4.5 후보 사례 121
5.4.6 사례 선정 121
5.4.7 가설 121
5.4.8 측정 122
5.4.9 자료 제시 124
5.4.10 자료 분석 125
5.4.11 이론적 시사점 125
5.4.12 반복연구 126
5.5 사례연구 2의 방법론 성찰 127
5.5.1 이론 127
5.5.2 연구 목적 127
5.5.3 연구 전략 128
5.5.4 후보 사례 128
5.5.5 사례 선정 128
5.5.6 가설 129
5.5.7 측정 129
5.5.8 자료 제시 129
5.5.9 자료 분석 130
5.5.10 이론적 시사점 130
5.5.11 반복연구 전략 131
참고문헌 133

제6장 결정적 관계 검증 사례연구 135
6.1 결정적 관계 검증 방법 136
6.1.1 서론 136
6.1.2 후보 사례 136
6.1.3 사례 선정 136
6.1.4 가설 137
6.1.5 측정 138
6.1.6 자료 제시 139
6.1.7 자료 분석 139
6.1.8 이론적 시사점 139
6.1.9 반복연구 전략 139
6.2 사례연구 3: 이론 검증 연구(결정적 관계 검증)
도심 접근 시간 제한이 유통업체의 배송 비용에 끼치는 영향 140
6.2.1 서론 140
6.2.2 이론 141
6.2.3 연구 목적 142
6.2.4 연구 전략 143
6.2.5 후보 사례 143
6.2.6 사례 선정 144
6.2.7 가설 145
6.2.8 측정 146
6.2.9 자료 제시 147
6.2.10 자료 분석 147
6.2.11 이론적 시사점 148
6.3 사례연구 3의 방법론 성찰 149
6.3.1 이론 149
6.3.2 연구 목적 149
6.3.3 연구 전략 149
6.3.4 후보 사례 150
6.3.5 사례 선택 150
6.3.6 가설 151
6.3.7 측정 151
6.3.8 자료 제시 151
6.3.9 자료 분석 151
6.3.10 이론적 시사점 152
6.3.11 반복연구 152
참고문헌 153

제7장 확률적 관계 검증 사례연구 154
7.1 확률적 관계 검증 방법 154
7.1.1 서론 154
7.1.2 후보 사례 155
7.1.3 사례 선정 155
7.1.4 가설 156
7.1.5 측정 156
7.1.6 자료 제시 156
7.1.7 자료 분석 156
7.1.8 이론적 시사점 157
7.1.9 반복연구 157
7.2 사례연구 4: 이론 검증 연구(확률적 관계 검증)
유통업체의 배송 전략이 도심 접근 시간 제한에 대한
민감도에 끼치는 영향 157
7.2.1 서론 157
7.2.2 이론 158
7.2.3 연구 목적 159
7.2.4 연구 전략 160
7.2.5 후보 사례 160
7.2.6 사례 선정(Case selection) 160
7.2.7 가설 160
7.2.8 측정 161
7.2.9 자료 제시 163
7.2.10 자료 분석 164
7.2.11 이론적 시사점 165
7.2.12 반복연구 전략 166
7.3 사례연구 4의 방법론 성찰 167
7.3.1 이론 167
7.3.2 연구 목적 167
7.3.3 연구 전략 167
7.3.4 후보 사례 168
7.3.5 사례 선정 168
7.3.6 가설 168
7.3.7 측정 168
7.3.8 자료 제시 169
7.3.9 자료 분석 169
7.3.10 이론적 시사점 169
7.3.11 반복연구 전략 169
참고문헌 170


제3부 이론 수립 연구
제8장 이론 수립 연구
173
8.1 이론 수립 연구의 연구 목적 174
8.1.1 개념 간의 관계 구체화 175
8.1.2 모르는 개념의 발견 176
8.1.3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 발견 177
8.1.4 개념의 발견 177
8.2 이론 수립 연구의 원리 178
8.3 이론 수립 연구의 연구 전략 179
8.4 결론 및 시사점 180
8.5 요약 180

제9장 이론 수립 사례연구 182
9.1 이론 수립 사례연구의 설계와 실행 방법 182
9.1.1 서론 182
9.1.2 후보 사례 182
9.1.3 사례 선정 183
9.1.4 관련 증거의 도출 185
9.1.5 코딩 186
9.1.6 자료 제시 187
9.1.7 자료 분석 187
9.1.8 자료 분석의 예시 189
9.1.9 결과 194
9.2 사례연구 5: 이론 수립 연구
비즈니스 서비스 제공업체를 상대하는 직원에 대한 명제 개발 195
9.2.1 서론 195
9.2.2 후보 사례 197
9.2.3 사례 선정 198
9.2.4 관련 증거 도출 199
9.2.5 코딩 201
9.2.6 자료 제시 202
9.2.7 자료 분석 202
9.2.8 결과 205
9.3 사례연구 5의 방법론 성찰 205
9.3.1 이론 수립 사례연구의 정당화 205
9.3.2 후보 사례 206
9.3.3 사례 선정 207
9.3.4 관련 증거의 도출 207
9.3.5 코딩 208
9.3.6 자료 제시 208
9.3.7 자료 분석 208
9.3.8 결과 209
참고문헌 211


제4부 실제 지향 연구
제10장 실제 지향 연구
215
10.1 가설 검증 연구 215
10.1.1 가설 검증 연구에서의 연구 목적 217
10.1.2 가설 검증 연구에서의 연구 전략 217
10.2 가설 수립 연구 219
10.2.1 가설 수립 연구에서의 연구 목적 220
10.2.2 가설 수립 연구에서의 연구 전략 221
10.3 서술적 연구 222
10.3.1 실제 지향 서술적 연구의 연구 목적 222
10.3.2 실제 지향 서술적 연구를 위한 연구 전략 223
10.4 요약 224

제11장 실제 지향 사례연구 226
11.1 실제 지향 사례연구의 설계와 실행 방법 226
11.1.1 서론 226
11.1.2 사례 선정 227
11.1.3 연구 결과의 시사점 227
11.2 사례연구 6: 실제 지향 가설 검증 사례연구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유연성의 보유 여부 평가 230
11.2.1 서론 230
11.2.2 가설 231
11.2.3 측정 232
11.2.4 자료 분석 233
11.2.5 결론 및 시사점 233
11.3 사례연구 6의 방법론 성찰 234
11.3.1 서론 234
11.3.2 연구 목적 234
11.3.3 연구 전략 235
11.3.4 후보 사례 235
11.3.5 사례 선정 235
11.3.6 측정 235
11.3.7 자료 제시 236
11.3.8 자료 분석 236
11.3.9 실제적 시사점 236
11.4 사례연구 7: 실제 지향 서술적 연구
표준화에 관한 베스트 프랙티스 모형 구축 237
11.4.1 서론 237
11.4.2 지침이나 기준의 부재 238
11.4.3 측정 241
11.4.4 자료 제시 242
11.4.5 개념 정의 242
11.4.6 시사점 245
11.5 사례연구 7의 방법론에 대한 성찰 246
11.5.1 실제 246
11.5.2 연구 목적 246
11.5.3 연구 전략 247
11.5.4 후보 사례 247
11.5.5 사례 선정 247
11.5.6 측정 247
11.5.7 자료 제시 247
11.5.8 자료 분석 248
11.5.9 실무적 시사점 248
참고문헌 249

부록
1. 측정 253
2. 사례연구를 다루는 경영학분야 학술지 266
3. 흐름도 268
4. 사례연구 보고서 작성 276
5. 용어사전 278

찾아보기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