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23-44

한반도 사회격차 완화를 위한 북한의 주거 및 일상생활 분석

Analysis of North Korea's Housing and Daily Life Indicators for Reducing the Social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서명/저자사항
한반도 사회격차 완화를 위한 북한의 주거 및 일상생활 분석 / 조성은 , 강미진 , 이철선 , 이철 , 정은미 , 하승희 , 윤종석 , 김보름 , 임지영
대등서명
Analysis of North Korea's Housing and Daily Life Indicators for Reducing the Social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발행사항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23
형태사항
269p. : 삽화, 도표 ; 24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23-44
ISBN
9791172520113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URL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M054507대출가능-
자료실EM05450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M05450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M05450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이 연구는 한반도 사회격차 완화를 목표로 한 남북 교류·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북한 주민의 주거 및 일상생활 실증 자료 수집을 위해 수행되었다. 북한의 표준생활 모형 구축과 정교화를 시도하는 중기연구의 4년차로 동시에 아시아의 대표적인 체제 전환국인 중국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김정은 집권이후 북한은 인민생활 개선을 내세우고 있지만 국제사회의 봉쇄와 코로나19 이후 자발적인 국경 폐쇄 등으로 동원할 수 있는 물질적 자원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대북제재 상황에서 북한의 무역량이 감소한 가운데 북한 내 주거 환경 및 교통 이용, 여가 이용 등에서 지역간·계층간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한편 북한의 이동통신 이용 증가는 북한 사회가 내부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중국의 사례를 볼 때 향후 개혁·개방의 과제와 함께 내부 불평등의 완화가 중요한 숙제가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7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제1부 북한 주민의 주거·교통·통신과 문화·여가 생활 제2장 북한 주민의 주거 이용 실태와 함의 25 제1절 들어가며 27 제2절 북한의 주택공급과 주거 이용 28 제3절 북한 주민 주거 이용의 변화 38 제4절 소결 55 제3장 북한 주민의 교통 이용 실태와 함의 57 제1절 들어가며 59 제2절 북한의 교통 인프라와 교통 이용 60 제3절 북한 주민 교통 이용의 변화 79 제4절 소결 90 제4장 북한 주민의 통신 이용 실태와 함의 93 제1절 들어가며 95 제2절 북한의 통신 보급 및 이용 97 제3절 통신의 이용과 생활양식의 변화 110 제4절 소결 138 제5장 북한 주민의 문화·여가 생활 실태와 함의 143 제1절 들어가며 145 제2절 북한 주민의 문화·여가 생활 147 제3절 북한 주민의 문화·여가 생활 변화 189 제4절 소결 200 제2부 체제전환국 사례: 중국의 계층화와 불평등 제6장 중국 체제 전환 과정에 나타난 계층화와 불평등 205 제1절 들어가며 207 제2절 중국 사회계층 구조 211 제3절 중국 사회계층 구조의 역사적 변화 220 제4절 중국 사회계층화의 특징 230 제5절 소결 241 제7장 결론 245 제1절 연구의 주요 결과 247 제2절 정책적 함의 253 참고문헌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