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EM05483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M05483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EM05483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M05483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장래가구추계는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보건·복지 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필수적인 도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인구추계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정책 연구에 직접 활용 가능한 가구추계 모형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혼인상태별 가구주율에 기반한 모듈화된 가구추계 모형을 구축하여 다양한 정책 시나리오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가구추계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모형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등록센서스 활용을 고려한 동적 가구추계로의 발전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론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5
제2절 연구 구성 9
제2장 국내ㆍ외 가구추계 방법론 11
제1절 가구추계 개요 13
제2절 국가별 가구추계 16
제3절 한국의 가구추계 47
제4절 소결 64
제3장 보건ㆍ복지 정책 연구를 위한 가구추계 모형 구축 67
제1절 모형 구축 프로세스 69
제2절 혼인상태별 인구(대상인구)추계 모듈 74
제3절 혼인상태별 가구주율 추계 모듈 83
제4절 가구원 수 및 가구 유형별 구성 추계 모듈 88
제5절 소결 98
제4장 모형 구축 결과 검토 101
제1절 대상인구 추계 검토 103
제2절 가구 수 추계 검토 109
제3절 가구원 수 및 가구 유형별 추계 검토 113
제4절 소결 123
제5장 결론 127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및 의의 129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개선 방향 132
참고문헌 135
Abstract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