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24-23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웰다잉 논의의 경향 및 과제

Trends and Challenges in Well-Dying: Preparing for the Future

서명/저자사항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웰다잉 논의의 경향 및 과제 / 신지영 , 김수경 , 최소영 , 백주하 , 오종민 , 최지연
대등서명
Trends and Challenges in Well-Dying: Preparing for the Future
발행사항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24
형태사항
216p. : 삽화, 도표 ; 24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24-23
ISBN
9791172520403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URL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M054835대출가능-
자료실EM05483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M05483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M05483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좋은 죽음’, 웰다잉을 위한 제도적 요소에는 호스피스, 연명의료 이외에도, 포괄적인 생애 말기 돌봄, 요양, 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심리적 지원, 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좋은 죽음의 정의는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다를 수 있고, 각자가 생애 말기에 좋은 죽음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웰다잉 관련 제도의 범위는 매우 넓기 때문에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한두 가지의 제도에 집중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최근에 시행되고 있는 웰다잉 관련 제도를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제도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고 한계를 분석하여 웰다잉 관련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또한 국내의 정책 현황을 반영하여 웰다잉에 대한 개인의 관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웰다잉 관련 정책의 개선점을 제안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웰다잉 정책 현황을 조사하고, 호스피스·연명의료 관련 이슈 및 웰다잉 관련 서비스 등 여러 가지 웰다잉 관련 요소들에 대한 개인의 입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국내외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미래 우리 사회의 변화를 고려한 웰다잉 정책의 개선 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웰다잉 관련 국내외 정책 현황 고찰 17 제1절 웰다잉 관련 국외 정책 현황 19 제2절 호스피스・연명의료 관련 국내 정책 현황 57 제3절 웰다잉 서비스 관련 국내 정책 현황 78 제3장 웰다잉에 대한 태도 예측 모델링 89 제1절 분석 내용 및 방법 91 제2절 설문조사 기술 통계 96 제3절 머신러닝 분석 결과 125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36 제4장 국내 전문가의 웰다잉 정책 제언 141 제1절 전문가 면담 조사 개요 143 제2절 조사 결과 144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78 제5장 결론 181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83 제2절 미래의 웰다잉을 위한 향후 정책과제 189 참고문헌 195 부록 203 [부록 1] 설문조사표 203 Abstract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