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24-24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11: 이주민과 사회통합
A Study of Assessment of Social Cohesion Status with Policy Implications (Ⅺ): Public Perception of Migrants' Social Integration
- 서명/저자사항
-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11 , 이주민과 사회통합 / 곽윤경 , 김기태 , 정세정 , 강예은 , 김지원
- 대등서명
- A Study of Assessment of Social Cohesion Status with Policy Implications (Ⅺ): Public Perception of Migrants' Social Integration
- 발행사항
-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24
- 형태사항
- 239p. : 삽화, 도표 ; 26cm
- 총서사항
- 연구보고서 2024-24
- ISBN
- 9791172520496
- 주기사항
- 참고문헌 수록
- URL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EM05489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M05489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EM05489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M05489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이번 보고서는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태도, 이민 관련 정책에 대한 태도, 그리고 이주민의 사회권과 복지 태도를 중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한다. 첫째, 우리 사회의 사회 및 사회통합 수준을 파악한다. 둘째, 다양성과 이주민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본다. 셋째, 이민정책과 사회통합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본다. 넷째, 이주민/외국인의 사회복지제도(사회복지 적용 및 수급 등)을 둘러싼 국민의 인식과 태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와 더불어, 사회통합 포럼을 통해 관련 전문가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슈를 공론화하여, 이 주제에 관한 정책적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목차
요약 1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5
제1절 다문화 사회에서의 사회통합 27
제2절 이주민 수용성 36
제3절 이주민 유입과 복지국가 38
제3장 사회통합 인식 51
제1절 응답자의 특성 53
제2절 사회 및 사회통합 인식 55
제3절 소결 80
제4장 다양성과 이주민 수용성 83
제1절 들어가며 85
제2절 연구 방법 88
제3절 다양성 인식 90
제4절 이주민 수용성 인식 98
제5절 소결 및 함의점 114
제5장 이민정책과 사회통합에 대한 태도 119
제1절 이민정책에 대한 인식 121
제2절 외국인력 유입에 대한 인식 123
제3절 사회통합 정책에 대한 인식 129
제4절 사회통합 정도에 따른 이민 및 외국인력 정책 태도 133
제5절 소결 및 함의점 137
제6장 이주민 사회권과 복지정책에 대한 태도 141
제1절 이주민 사회권에 대한 내국인 인식 143
제2절 이주민·복지제도 유형에 따른 이주민 사회권 149
제3절 이주민 사회권에 대한 인식 및 복지 태도 165
제4절 소결 및 함의점 170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175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177
제2절 정책적 함의 184
참고문헌 189
부록 203
[부록 1] 2024 사회통합 실태조사 표본 설계서 203
[부록 2] 2024 사회통합 실태조사 설문지 220
Abstract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