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831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4831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무엇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이스털린 패러독스는 소득과 같은 삶의 객관적인 조건이 왜 행복으로 표현되는 삶의 주관적인 평가에 우리가 기대하는 만큼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40여년 전에 이스털린이 던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그리스 철학이 구분했던 두 가지 행복의(hedonic vs. eudaimonic) 성격을 중심으로 행복에 이르는 과정과 그 영향을 설명한다. hedonic한 행복은 eudaimonic한 행복과 달리 그 효과가 단기적이고 쉽게 사라지기 때문에 한 사회의 자원이 행복의 두 가지 성격 중 어느 쪽을 추구하는데 더 많이 사용되느냐에 따라 동일한 소득이더라도 행복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eudaimonic한 행복의 가장 중요한 원천으로 들 수 있는 것이 센이 제시한 삶의 역량이다. 역량은 개인이 가치를 두고 있는 행위나 상태를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인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사회의 역량 수준은 동일한 소득을 가지고 있더라도 좀 더 행복하거나 혹은 덜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중요한 조절변수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이러한 가정을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소득과 행복, 불평등과 행복에 대한 실증분석과 핀란드와 일본을 비교한 사례분석을 통해 증명하였다. 특히 핀란드와 일본의 국가 간 비교에서는 거의 유사한 수준의 핀란드와 일본의 행복수준이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두 나라의 사회문화적 차이, 그 중에서도 한 사회의 역량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치와 문화, 신뢰와 공동체, 교육, 기회균등 등을 중심으로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역량 중심의 eudaimonic한 행복 개념을 토대로 새로운 행복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OECD 국가들의 전반적인 행복 수준을 평가하였다.
이스털린 패러독스는 소득과 같은 삶의 객관적인 조건이 왜 행복으로 표현되는 삶의 주관적인 평가에 우리가 기대하는 만큼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40여년 전에 이스털린이 던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그리스 철학이 구분했던 두 가지 행복의(hedonic vs. eudaimonic) 성격을 중심으로 행복에 이르는 과정과 그 영향을 설명한다. hedonic한 행복은 eudaimonic한 행복과 달리 그 효과가 단기적이고 쉽게 사라지기 때문에 한 사회의 자원이 행복의 두 가지 성격 중 어느 쪽을 추구하는데 더 많이 사용되느냐에 따라 동일한 소득이더라도 행복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eudaimonic한 행복의 가장 중요한 원천으로 들 수 있는 것이 센이 제시한 삶의 역량이다. 역량은 개인이 가치를 두고 있는 행위나 상태를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인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사회의 역량 수준은 동일한 소득을 가지고 있더라도 좀 더 행복하거나 혹은 덜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중요한 조절변수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이러한 가정을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소득과 행복, 불평등과 행복에 대한 실증분석과 핀란드와 일본을 비교한 사례분석을 통해 증명하였다. 특히 핀란드와 일본의 국가 간 비교에서는 거의 유사한 수준의 핀란드와 일본의 행복수준이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두 나라의 사회문화적 차이, 그 중에서도 한 사회의 역량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치와 문화, 신뢰와 공동체, 교육, 기회균등 등을 중심으로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역량 중심의 eudaimonic한 행복 개념을 토대로 새로운 행복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OECD 국가들의 전반적인 행복 수준을 평가하였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행복의 정의와 사회과학에서의 행복 연구
1. 행복의 근원(locus)에 대한 논의
2. 행복의 성격(focus)에 대한 논의
3. 행복의 측정에 대한 논의
4. 행복의 결정요인에 대한 논의
제3장 행복의 국가 간 비교 및 우리나라의 행복수준
1. 행복의 국가 간 비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2. 한국인의 요인별 행복도 분포
3. 한국인의 집단별 행복수준 비교
4. 소결
제4장 센(Sen)의 삶의 역량 이론과 행복방정식
1. 삶의 역량 이론
2. 삶의 역량의 조작화
3. 삶의 역량과 행복방정식
제5장 행복방정식의 실증분석
1. 소득과 행복 간의 실증 관계 분석
2. 불평등과 행복의 실증 관계 분석
차 례
제6장 행복의 국가 간 비교분석: 핀란드와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1. 핀란드와 일본의 행복
2. 분석의 틀: 행복의 결정 메커니즘
3. 분석방법: 심층인터뷰
4. 분석결과: 사회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 핀란드와 일본의 차이
5. 소결
제7장 삶의 역량 중심의 국민행복지수: OECD 국가를 중심으로
1. 삶의 역량과 행복지수
2. 삶의 역량 중심의 국민행복지수 개발 방법론
3. 국민행복지수의 국가 간 비교
4. 소결
제8장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