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추천자료

추천자료

단행본

사회복지학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fare

서명/저자사항
사회복지학개론/ 지은이: 조흥식, 권기창, 이태수, 박경수, 이용표, 엄규숙, 박기훈
판사항
개정판
대등서명
Introduction to social wefare
개인저자
권기창 1959- | 박경수 1960- | 박기훈 1970- | 엄규숙 1962- | 이용표 1969- | 이태수 1959- | 조흥식 1953-
발행사항
서울 : 창지사, 2013
형태사항
407 p. : 도표 ; 26 cm
ISBN
9788942622535
주기사항
참고문헌(p. 398)과 색인수록
목차

머리말

PART 01 사회복지의 기초

Chapter 01 현대사회와 인간, 그리고 사회복지
1. 인간의 이해
-1) 인간 이해에 대한 다양한 시각
-2) 사회복지가 보는 인간의 이해
2. 현대사회와 사회문제
-1) 사회위험
-2) 사회문제
3. 욕구의 이해
-1) 욕구의 의미
-2) 욕구의 분류
4. 사회복지의 의의와 역할
-1) 사회복지의 의의
-2) 사회복지의 역할

Chapter 02 사회복지의 개념
1. 사회복지 개념의 다양한 측면
2. 사회복지와 관련개념
-1) 사회서비스
-2) 사회보장
-3) 사회복지서비스
-4) 사회사업
-5) 자선사업
-6) 사회복지와 관련개념들과의 관계
3. 사회복지의 기준
4. 사회복지의 관점
-1) 잔여주의 . 제도주의 . 발달주의
-2) 선별주의 대 보편주의
5. 사회복지학의 접근방법과 정체성

Chapter 03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1. 사회복지의 주체
-1) 전통적 주체로서 공공과 민간
-2) 정책주체, 운영주체, 실천주체
-3) 사회복지 주체의 다양화
2. 사회복지의 대상
-1) 사회복지의 수급자
-2) 사회복지 대상으로서의 욕구
3. 급여형태
4. 전달체계
-1) 민영화
-2) 영리화
5. 재원
-1) 공공재원
-2) 민간재원

PART 02 사회복지제도의 생성과 발달

Chapter 04 사회복지의 기원과 발달
1. 선진국 복지제도의 발달
-1) 산업화 이전의 시기
-2) 국가 개입의 시대
-3) 본격적 산업 자본주의 시대
2. 한국에서 복지발달의 역사
-1) 근대 이전의 복지제도
-2) 식민통치와 근대적 복지제도
-3) 현대적 사회복지제도의 도입

Chapter 05 복지국가의 성립과 변화
1. 복지국가 형성과정
-1) 복지국가 발달과 시민권
2. 복지국가 형성과 발달의 결정요인
-1) 복지국가 발전에 대한 이론적 접근방식
-2) 사회복지발달의 결정요인
-3) 복지국가유형론
-4)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구분
3.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
-1) 복지국가 위기의 원인
-2) 세계화와 복지국가의 위기
-3) 신자유주의의 복지국가 축소와 그 부작용
-4) 복지다원주의: 복지거버넌스의 변화와 능력개발국가
-5) 복지국가 재편과 경로의존성
-6) 21세기 복지국가의 과제
4. 한국 복지국가의 성장과 과제
-1) 사회복지제도의 성장
-2) 한국 복지국가 발달의 특징 및 향후 과제

PART 03 사회복지방법론

Chapter 06 사회복지방법론 ( I )
1. 사회복지실천의 개관
-1) 사회복지실천의 의미
-2) 사회복지실천의 기반
-3)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 - 통합적 접근
-4) 사회복지실천의 대상과 분야
-5) 사회복지사의 역할
2. 미시적 실천방법
-1) 실천이론과 개입모델
-2) 개인 대상의 실천
-3) 집단 대상의 실천
3. 거시적 실천방법:지역사회수준에서의 실천방법
-1) 의의
-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
-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4)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5) 추진체계와 자원환경

Chapter 07 사회복지방법론 ( II )
1. 사회복지행정
-1) 사회복지행정의 의의
-2) 사회복지행정의 구조론
-3) 사회복지행정의 관리론
2. 사회복지조사
-1) 사회복지조사의 의의
-2) 사회복지조사방법
-3) 사회복지조사의 절차

PART 04 사회복지의 주요영역

Chapter 08 사회보장
1. 사회보장의 의의
-1) 사회보장의 개념
-2) 사회보장의 유사개념
2. 사회보장의 목적, 주체, 기능
-1) 사회보장의 목적
-2) 사회보장의 주체
-3) 사회보장의 기능
3. 사회보장의 영역
-1) 사회보험
-2) 공공부조
4. 사회보장의 내용
-1) 국민연금
-2) 건강보험
-3) 산재보험
-4) 고용보험
-5) 장기요양보험
-6) 공공부조

Chapter 09 사회복지서비스 ( I )
1. 아동복지
-1) 개요
-2) 정책과 서비스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4) 아동복지의 과제
2. 청소년복지
-1) 개요
-2) 정책과 서비스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4) 청소년복지의 과제
3. 노인복지
-1) 개요
-2) 정책과 서비스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4) 노인복지의 과제
4. 장애인복지
-1) 개요
-2) 정책과 서비스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4) 장애인복지의 과제
5. 여성복지
-1) 개요
-2) 정책과 서비스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4) 여성복지의 과제

Chapter 10 사회복지서비스 ( II )
1. 가족복지
-1) 개요
-2) 정책과 서비스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4) 가족복지의 과제
2. 의료사회복지
-1) 개요
-2) 정책과 서비스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4) 의료사회복지의 과제
3. 정신보건사회복지
-1) 개요
-2) 정책과 서비스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4) 정신사회복지의 과제
4. 학교사회복지
-1) 개요
-2) 정책과 서비스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4) 학교사회복지의 과제
5. 산업복지
-1) 개요
-2) 정책과 서비스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4) 산업복지의 과제

Chapter 11 사회복지 전달체계와 인력
1.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및 구분
-1)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의의
-2)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구분
2.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원칙
-1) 행정적인 측면
-2) 서비스제공 측면
3. 사회복지 전달체계 현황
-1) 전달체계 관련 법규
-2) 사회제도적 환경 및 전달체계의 변화
4. 사회복지 전달체계로서의 사회복지 인력
-1) 사회복지인력 현황
-2)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5.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과제

Chapter 12 복지재정의 구조와 실태
1. 현대정부의 역할
2. 국가 재정의 구조
-1) 정부의 범주
-2) 중앙정부의 재정 운영 구조
-3) 지방정부의 재정 운용 과정
3. 한국 복지재정의 현실
-1) 한국 재정 운영의 현주소
-2) 복지예산의 현실
-3) 복지재정의 과제

PART 05 한국 사회복지의 조망

Chapter 13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과제
1.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조력자
-2) 중재자
-3) 통합자/조정자
-4) 관리자
-5) 교육자
-6) 분석가/평가자
-7) 중개자
-8) 촉진자
-9) 주창자
-10) 협상가
-11) 옹호자
2. 사회복지사의 윤리와 자세
-1) 사회복지실천과 가치
-2)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 기준
-3) 사회복지실천과 윤리강령
-4) 윤리적 딜레마 해결을 위한 준거틀
3. 새로운 사회복지 실천 분야
-1) 사회복지의 변화와 전망
-2) 새로운 실천영역에 대한 적절한 선택
4. 사회복지인력의 활용 과제

Chapter 14 한국 사회복지의 전망
1. 한국의 복지환경 변화
2. 한국 복지발전의 전망
-1) 복지정책의 기본 방향
2) 복지정책의 구현 조건

찾아보기

주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