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컬렉션

컬렉션

단행본

노인약료 핵심정리: 지역사회 통합돌봄시대 노인 약물관리의 정석 가이드 북

서명/저자사항
노인약료 핵심정리 : 지역사회 통합돌봄시대 노인 약물관리의 정석 가이드 북 / 엄준철
판사항
완전개정판
개인저자
엄준철
발행사항
과천 : 정다와 : 동명북미디어, 2024
형태사항
635 p. : 삽화 ; 26 cm
ISBN
9788969910462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5458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5458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독자 대상 : 약사, 의사, 약학대학생, 의학대학생, 그 밖에 노인약물관리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

- 구성 : 1부 총론 17챕터, 2부 각론 10개 질환 총 62챕터로 구성. 636페이지

- 특징 :
① 이 책은 노인의 약물 안전 사용과 관리 대해 국내에서 보기 드문 저서이다.
② 노인의 특성에 대해 약물동력학 및 약리학적 변화에서부터, 노인 학대까지 17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설명했으며, 노인에게 흔한 10가지 질병에 대한 62가지 증상의 약물관리를 소개한 책이다.
③ 2017년 제1편 발행 이후 7년 만에 출간되는 완전개정판으로, 제1편 발행 이후 약사회 연수교육 등에서 약사들이 질문한 궁금한 사항들을 꼼꼼히 챙겨 설명하였다.
④ 모든 내용에 다양한 학술논문을 검색하여 참고문헌으로 활용하였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고령화 진행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이다.
2000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7%가 되는 고령화사회에 처음 진입했으며, 18년만인 2018년 14%로 고령사회가 되었다. 그리고 불과 7년만인 2025년 20%가 되는 초고령사회에 들어서게 된다. 이는 세계 최장수 고령국가인 일본이 24년, 12년이 걸린 것보다도 훨씬 빠르게 진행된 것이다.

이러한 고령사회에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이 바로 노인의 질병과 건강, 그리고 안전문제이다.
노인의 특성은 많은 질병을 복합적으로 앓는 다병형(多病型), 그에 따라 많은 약을 복용하는 다제복용형(多劑服用型), 그리고 위장과 신장, 간의 기능 약화로 인해 복용한 약물을 정상적으로 배설하지 못하고 인체에 남아 있는 다제축적형(多劑蓄積型)) 이라고 한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과 노인의 특성을 감안하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정확한 진단과 처방 및 적정한 약물 투약이다. 그리고 안전한 복용을 위한 약력관리와 복약지도이다. 이러한 것을 통틀어 노인약료라고 할 수 있다.

엄준철 약사가 2017년 집필하여 출간한 노인약료 핵심정리는 당시 노인의 약물관리에 대해 국내에서 거의 최초이자 독보적으로 나온 책이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지난 7년 동안 많은 약사들의 전문성을 발휘하고, 노인의 건강을 지키는 데 매우 큰 기여를 하였다고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에 7년 만에 발간되는 『노인약료 핵심정리 완전개정판』은 그동안 진전된 사회 환경적인 변화를 반영하고, 제1편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대폭 보완 하였다.
특히 저자가 그동안 각급 약사회 연수교육 등에서 강의를 하며 접하게 된 약사들의 궁금한 점을 꼼꼼히 메모하여 정리하였다.
또 제1편에서 부족했던 부분과 학문적으로 완벽을 기하기 위해 다양한 학술논문을 열람하고, 참고문헌에 넣었다.
그래서 책의 볼륨도 제1권 362쪽에서 636쪽이 되었다.

그동안 약사들은 지자체와 협력하여 고령자 가정을 방문하여 복약지도와 먹다 남은 약을 정리해주는 등 방문약료 사업을 펼쳐왔다. 또 고혈압, 당뇨병, 신장질환 등 46개 만성질환 중 1개 이상 질환의 보유자이면서 정기적으로 10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다제약물관리사업을 전개하여 노인약료를 실천하여 왔다.

특히 2024년 2월에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에 관한 법률이 국회에서 통과되고,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에 들어가게 됨으로써, 노인환자에 대한 약물관리와 복약상담 등 약사들이 담당해야할 역할이 더욱 크고 중대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때에 맞추어 엄준철 약사가 완전개정판을 발행한 것은 노인 약물관리에 대한 약사의 직능을 더욱 공고히 하고, 노인의 건강과 안전한 약물 복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들어가는 말 4

추천사 6

제1부 총론 노인의 특성 및 약물관리 17
• 노인의 약물동력학, 약력학적 변화 18
• 노화에 따른 생리학적 변화 23
• 노인증후군 49
• 노인의 비전형적 증상 59
• 포괄적 노인평가(CGA) 60
• 연쇄처방 77
• 포괄적 약물관리 79
• 노인에게 부적절한 약물 91
• 약물상호작용 : 약동학적 기본원리 116
• 약물 – 약물 상호작용 122
• 건강기능식품 – 약물 상호작용 132
• 음식 – 약물 상호작용 135
• 입원, 퇴원 시의 약물 관리 140
• 수술 전 약물 중단 142
• 장기요양시설에서의 약물 관리 146
• 말기환자 완화치료 Palliative Care 151
• 노인 학대 160

제2부 각론 노인에게 흔한 질환 163
심혈관계 질환 164
• 노인의 기립성저혈압 164
• 노인성 고혈압 168
• 노인의 이상지질혈증 178
• 노인성 관상동맥질환 187
• 노인성 말초동맥질환 195
• 노인성 심부전 199
• 노인성 부정맥 210
• 노인의 심방세동 211
• 노인의 뇌졸중 220
• 항응고제 228
• 노인의 정맥혈전색전증(VTE) 240

호흡기계 질환 242
• 노인성 COPD 242
• 노인의 천식 250
• 노인성 결핵 256

신장, 비뇨기계 질환 260
• 노인의 만성 콩팥병 260
• 노인성 요실금 268
• 노인의 방광통증후군/간질성방광염 275
• 노인의 전립선비대증 277
• 노인의 발기부전 287

내분비계 질환 294
• 노인성 당뇨병 294
• 노인의 비만 313
• 노인의 갑상선질환 322
• 노인의 갑상선기능저하증 324
• 노인의 갑상선기능항진증 328

위장관계 질환 333
• 노인의 구강건강 333
• 노인의 구강건조 334
• 노인의 입맛 감소, 미각장애(dysgeusia) 336
• 노인의 치과 처방전 337
• 노인의 연하곤란 343
• 노인의 역류성식도염 348
• 노인의 소화성궤양 363
• 노인의 오심, 구토 367
• 노인의 게실병 361
• 노인의 변비 364
• 노인의 대변실금 370
• 노인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 설사 374
• 노인의 설사 377
• 노인의 영양관리 381

신경계 질환 391
• 노인의 치매 391
• 치매 노인의 행동심리증상(BPSD) 411
• 치매 간병 428
• 노인의 섬망 441
• 노인의 파킨슨병 452
• 노인의 파킨슨병 비운동증상 465
• 노인의 뇌전증 470

정신과 질환 483
• 노인성 우울증 483
• 노인성 불안장애 500
• 노인성 수면장애 510
• 노인의 물질사용장애(알코올 사용장애) 524
• 노인에게 신경정신과약 사용 원칙 533

근골격계 질환 538
• 노인의 근육통, 신경통 538
• 노인성 골관절염 550
• 노인의 마약류 진통제 사용 557
• 노인성 골다공증 564
• 노인의 골절 571
• 낙상 위험 약물 관리 573

감각기계 질환 581
• 노인의 시각 장애 581
• 노인의 청각 장애 590
• 노인의 어지러움 596

감염성 질환 603
• 노인의 요로감염 603
• 노인성 폐렴 608
• 노인성 대상포진 615

참고문헌 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