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한국어판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척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 연구(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Scale)
- 개인저자
- 허만세, 이순희
- 수록페이지
- 149-180 p.
- 발행일자
- 2016.08.28
- 출판사
-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척도가 청소년의 자살사고를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552명에게 한국어판 PANSI 척도를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PANSI 척도의 내적일관성 정도를 알아보았고, 관련척도(CES-D, BDI, RES, SWLS)들과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준거타당도를 살펴보았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PANSI 척도의 요인구조의 적합도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첫째, PANSI 척도의 내적일관성 Cronbach' ɑ는 .883으로 신뢰성이 비교적 높았다. 둘째, PANSI 척도는 Self-esteem 및 SWLS 척도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 BDI, CES-D와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나 준거 타당도를 일정 정도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ANSI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요인 모형이 적합하였으며 자료에 대해 66.0%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PANSI 척도가 국내에서 청소년 자살사고를 측정하고 나아가 선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K-PANSI) scale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52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the K-PANSI. A reliability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test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alpha), criterion validity (with respect to CES-D, BDI, RES, SWLS), and construct validity.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ronbach'ɑ of the K-PANSI scale is supported to some degree b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ES-D, BDI, RES, SWLS. Lastl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K-PANSI scale showed that a two factor model was appropriate with 66.0 percent of explanatory pow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PANSI scale could be used 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for adolescent' suicide ide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