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KIHASA 발간물

  1. 메인
  2. KIHASA 발간물
  3.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기사

장애인에서 노인으로(On the Cross of Disability and Old Age)

개인저자
신유리
수록페이지
143-167 p.
발행일자
2016.11.28
출판사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고령화시대의 진전과 함께 노령화, 노인, 노후 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나, 장애인의 그것에 대한 연구는 부진한 형편이다. 장애인들 또한 불가역적인 노화는 필연적인 경험이 되며, 장애와 노화의 중첩에 따른 이중적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이십여 년 이상 장애를 갖고 삶을 이어온 사오십대의 장애인들을 통해 장애와 나이 들어감의 동시적 진행과 공존의 모습을, 그리고 죽음의 의미를 탐색하려는 의도를 가진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 면접이 실시되었으며 나이 듦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풍부하고 분명하게 묘사하고 전달할 수 있는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자료분석 결과에 의하면, 장애인들의 노화는 대체로 이차장애를 수반하는 한편, 노화와 그에 수반되는 경험들이 장애의 그것을 압도하기도 하는 현상이 목격된다. 그러나 이들의 노령은 비장애인들과의 노령과는 그 접점을 찾지 못하고, 여전히 노인들내에서도 장애인으로서의 차별을 절감하게 된다. 장애인은 나이 들어감에 따라 본인 또한 노인이 된다고는 느끼지만, 사회적으로는 여전히 노인보다는 장애인으로의 장벽에 둘러싸여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직면하는 나이 듦과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수용하는 가운데 오늘을 유의미하게 살아내는 의지의 장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록 탐색적이나마, 비장애인들과는 또 다른 모습으로 나이 들어가는 삶의 경험을 해석하는 장애인들의 노화를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While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various issues of aging of the individuals and the population, little is known about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aging of the disabled. Aging is irreversible for the disabled as well as for the not-disabled. With the advances of age, the disabled confront double jeopardy from disability and old ag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aging and death for 40s and 50s living with disability for more than 20 years. It utilizes the data set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s discussions of the disabled The cases in our analysis are composed of the disabled capable of articulating their feelings and thoughts. Thus, they are selected from the less privileged ones. The analysis shows that aging of the disabled, often involving secondary disability, overwhelms their current disability. Nonetheless, it does not necessary mean that they become an ordinary elderly person. Rather they still feel exclusion from the elderly for their disability. As getting older they turn to face social barrier for both disability and old age. Also, they are trying to live their present lives in full while accepting the presence of death Our findings are hoped to help to understand how the disabled get old and view their death in their own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