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관한 질적 연구(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Burn Out Experience of Public Social Worker)
- 개인저자
- 최정숙
- 수록페이지
- 201-240 p.
- 발행일자
- 2014.12.23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을 내부자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시내 구, 동에서 일하는 근무경력 4∼24년차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0명으로, 자료수집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4단계방법을 따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경험은 151개의 의미단위, 29개의 하위구성요소, 10개의 구성요소로 분석되었으며, 최종 도출된 구성요소는 ‘클라이언트 관계에서의 외상’, ‘쏟아지고 바뀌는 직무수행상의 긴장’, ‘조직의 불합리한 처우와 무관심에 지쳐감’, ‘공공복지제도 내 일하는 한계와 딜레마’, ‘전문성 발휘할 수 없는 한계’, ‘정신적·신체적 탈진과 무기력’, ‘가족에게 증상전이’, ‘초심을 잃어감’, ‘더 이상 일하기 어려운 한계상황’, ‘보람으로 상쇄시키고 희망 걸며 버텨나감’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 관련 논의 및 제언사항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explore in depth the burn out experience of public social workers from an insider perspective. In 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on 10 public social workers (work experience; 4-24years).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Giorgi’s 4 stag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urn out experience of public social workers consisted of 151 meanings, 29 sub-categories, 10 structure factor. The final structure factor that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trauma from relations with the client’, ‘tension from the overflow and changes of work execution’, ‘exhaustion from the indifference and irrational treatment of the organization’, ‘limitations and dillema of working within the public social welfare system’, ‘limitation from inability to demonstrate expertise’, ‘Psychological/physical burnout and langour’, ‘Symptom presentation in family’, ‘losing the first intentions’, ‘difficulty in further pursuit of work’, ‘endurance by finding worth and offsetting’. Discussions and suggestions have been proposed in accordance with thes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