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KIHASA 발간물

  1. 메인
  2. KIHASA 발간물
  3.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기사

학교라는 장(field)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차별경험과 대응방식(School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their reactions in the schools)

개인저자
이순희
수록페이지
215-245 p.
발행일자
2015.03.23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본 논문은 학교라는 사회적 장(field)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차별경험과 차별에 대한 대응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전문성 확립을 위해 필요한 대안을 고민해보고자 한다. 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라는 공간에서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전문가이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의 전통적이고 고유한 직업군인 교사 및 교직원 집단에게 이방인으로 간주 되어 왔던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 8명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학교사회복지사가 교사, 정규 행정직원, 비정규 실무원 등 학교 내 다른 직업집단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떠한 차별을 경험하고 있는지 입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어서 학교사회복지사가 다른 직업집단의 차별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식도 짚어보았다. 학교사회복지사가 학교에서 경험하는 차별은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정체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가 학생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지 못하게 만드는 방해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론에서는 학교사회복지사가 학교현장에서 다른 집단과의 갈등을 줄이고 사회복지전문가로 안정적 입지를 넓혀가기 위한 방안을 제안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rogate school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by other groups in a school and their responses to the discriminatory actions. School social workers are emerging professionals that provide counseling services and other welfare resources for pupils. However, in the schools, they have often been disregarded as 'strangers' and 'inferior actors' by other traditional school workers such as teachers, administrative faculty, and assistant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8 school social workers in Daegu Cit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chool social workers have been excluded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s with other school groups. Subsequently, this paper describes their diverse strategies of reaction against the discriminatory acts. In doing so, this article aims to offer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practical ways to establish school social workers' identity as experts for students' welfare and to achieve recognition by other groups in the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