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KIHASA 발간물

  1. 메인
  2. KIHASA 발간물
  3.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기사

청년층 사회경제 활동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영향요인 분석(Latent Class Analysis of Scioeconomic Status Among Young Work Force)

개인저자
김보민
수록페이지
119-156 p.
발행일자
2018.08.01
출판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록
본 연구는 2014GOMS를 이용하여 대학교 졸업 유예가 취업 및 임금에 끼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졸업유예 경험자들의 비율은 약 15%이며, 이전연구에서 제시한 졸업유예 경험자들의 비율은 과대 추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결과 졸업유예 경험은 취업률은 상당히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유예자들이 졸업유예를 하지 않은 대졸자에 비하여 약 7% 많이 취업을 하였다. 그러나 표본선택 모형을 통해 임금식을 추정한 결과 취업을 한 경우 졸업유예자의 초임은 비졸업유예자보다 약 30%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유예 경험이 오히려 실질적인 임금에는 부의 효과를 끼친 것이다. 결국 대학생들이 졸업유예를 통하여 취업 준비 기간을 확보했을 때 취업확률을 높이기는 하지만 더 좋은 일자리에는 가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delayed graduation on employment and wage status. The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2014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which found that approximately 15% of students delayed graduation, a significantly conservative figure to previous estimates. A probit model of the data showed that delayed graduation significantly increases chances of employment, approximately 7% more likely to find employment than students who did not. However, a sample selection model of the data showed that while delayed increases likelihood of employment, the initial salary of that employment decreases by 30% or grea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know that delaying graduation to secure a preparatory period for employment does significantly increase chance of employment, but delayed college students are not more likely to get a better jo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