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살 예방과 헬스 커뮤니케이션
Suicide prevention and health communication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50844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5084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자살 예방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해법을 찾다
이 책은 자살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문화 요인들을 살펴보고, 자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소통 전략과 미디어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연구서이다. 우리의 일상 속에서 정신건강을 지키고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관련 내용들을 다룬다. 정신건강에 대한 일반인들의 기본적 이해를 돕는 한편 자살 예방을 위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정책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현재 수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전염병으로 인해 전 세계가 고통받고 있는 가운데, 한국인들 역시 육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또한 그 어느 때보다 위협받고 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와 생활방역으로 격리되고 단절되면서, 집단주의 문화 특성이 강한 한국 사회에서 소통 방식의 변화나 소통의 결여는 정신건강 문제로 직결된다. 문제는 코로나19 이전에도 한국인의 정신건강은 위태로운 상태에 놓여 있었다는 점이다.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고, 급속한 경제 발전 속에서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선진국들과 비교해 월등히 낮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책은 자살과 정신과 치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이라는 차원에서 출발하여 자살 낙인과 정신과 치료 태도에 영향을 끼치는 문화적 요소들의 역할과 효과를 살펴보고,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우울증 증상이 소통되는 방식을 고찰하면서 자살 위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미디어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그동안 대부분의 자살 예방 관련 서적들이 정신의학적 관점에서 환자의 치료와 상담에 초점이 맞추어져왔다면, 이 책은 일반인들의 자살에 대한 인식과 대응 태도를 먼저 살펴보고 자살 예방을 위한 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자살공화국이라는 불명예스런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 모두의 역할이 필요함을 깨닫고 우리의 가족 중에도 발생할 수 있는 자살이라는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총 2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자살과 정신건강에 대해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1장 자살과 정신건강’에서는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가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요구되는 사회적 문제임을 설명하고 한국인의 정신건강과 회복탄력성 등에 대해 논한다. ‘2장 자살과 한국 사회’에서는 높은 우울감, 낮은 행복지수, 저조한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 사용이라는 모순적인 한국 상황을 조명하고 있으며, ‘3장 자살 현상과 한국 문화’에서는 자살 현상을 체면, 눈치, 자기 통제 등 한국의 문화 요인들과 관련하여 살펴본다. ‘4장 한국인의 자살 인식과 태도’에서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가치와 관련하여 자살 인식과 태도에 대해서 살펴보고, ‘5장 낙인과 건강 불평등’에서는 사회적 편견과 배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낙인의 개념 등을 설명하고 한국 사회의 건강 불평등과 낙인 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6장 자살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에서는 한국 사회와 해외의 자살 낙인의 특성 및 집단별 자살 낙인의 구조를 살펴보고, ‘7장 비대면 정신건강 검진과 자살 예방’에서는 낙인과 관련하여 모바일을 통한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와 e헬스리터러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8장 자살과 정신건강 리터러시’에서는 한국 사회 자살 리터러시의 현주소와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부에서는 헬스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자살 예방 전략과 미디어 활용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9장 건강 정보와 자살 보도’에서는 자살 관련 보도의 문제점과 미디어의 역할을 논하고, ‘10장 자살 관련 미디어 콘텐츠와 자살 예방 정보’에서는 자살 예방을 위한 자살 관련 미디어 콘텐츠의 개선 방안을 짚어보았으며, ‘11장 해외 자살 예방 및 정신건강 정책’에서는 영국, 미국, 핀란드 등 세계 각국의 자살 예방 정책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12장 해외 자살 예방 및 정신건강 캠페인 사례’에서는 다양한 해외 캠페인 사례들을 정리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13장 한국형 자살 예방 헬스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언’에서는 한국형 자살 예방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성과 쟁점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1부 자살과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 문화적 고찰
1부 자살과 정신건강에 대한
1장 자살과 정신건강
1. 사회적 문제로서 자살
2. 자살과 정신질환 치료
3. 한국인의 정신건강과 회복탄력성
2장 자살과 한국 사회
1. 한국인의 높은 우울감
2. 한국 사회의 낮은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
3. 한국인의 낮은 행복지수
3장 자살 현상과 한국 문화
1. 한국 사회의 ‘체면’
2. 한국 사회의 ‘눈치’
3. 한국 사회의 ‘우리’
4. 한국 사회의 ‘자기 통제’
4장 한국인의 자살 인식과 태도
1. 정신의료 서비스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2. ‘자기 통제’를 강조하는 한국 문화와 자살
3. 부정적 감정에 대한 수용성과 자살
4. 집단 범주화와 자살
5장 낙인과 건강 불평등
1. 사회적 편견과 배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 낙인의 개념과 파급 효과
3. 낙인 감소 전략과 귀인 이론
6장 자살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1. 자살 낙인에 대한 이해
2. 해외의 자살 낙인
3. 한국 사회의 자살 낙인
4. 집단별 특성에 따른 자살 낙인 구조
7장 비대면 정신건강 검진과 자살 예방
1. 모바일 정신건강 서비스의 유용성
2.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모바일 앱 이용과 동기화
3. e헬스리터러시와 정신건강에 대한 위험 인식
8장 자살과 정신건강 리터러시
1. 정신건강 및 자살 리터러시
2. 한국인의 정신건강 리터러시
3. 한국인의 자살 리터러시에 대한 비교문화적인 고찰
4. 자살 예방을 위한 자살 리터러시
2부 자살 예방을 위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2부 자살 예방을 위
9장 건강 정보와 자살 보도
1. 미디어와 건강 정보
2. 미디어의 자살 보도
3. 자살 예방을 위한 자살 보도
10장 자살 관련 미디어 콘텐츠와 자살 예방 정보
1. 미디어를 통해 재현되는 자살과 정신질환
2. 국내 정신질환 다큐멘터리가 재현한 자살 담론
3. 국내 포털 사이트 자살 예방 정보
11장 해외 자살 예방 및 정신건강 정책
1. 영국
2. 미국
3. 핀란드
4. 호주
5. 뉴질랜드
12장 해외 자살 예방 및 정신건강 캠페인 사례
1. 호주 <It’s not you, it’s your brain>
2. 스코틀랜드 <See Me>
3. 캐나다 <Bell Let’s Talk>
4. 미국 <Man Therapy>
5. 호주 <R U OK?>
6. 영국 <CALM(Campaign Against Living Miserably)>
7. 미국 <Trevor Project>
8. 호주 <Zero2hero>
9. 영국 <Lo-Fi beats suicide>
10. 인도 <#Give Subtitles to Suicide>
11. 뉴질랜드 <The Right to Grow>
12. 미국 <Real Men. Real Depression>
13. 독일 <Awesome Makes Me Sick>
14. 아일랜드 <Make a Ripple - Tell Your Story>
15. 캐나다 <#308conversations>
16. 뉴질랜드 <National Depression Initiative>
17. 아일랜드 <Your Mental Health>
18. 영국 <Time to Change>
19. 스코틀랜드 <Choose Life>
20. 캐나다 <Opening Minds>
13장 한국형 자살 예방 헬스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언
1.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
2. 한국 문화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전략
3. 헬스 커뮤니케이션 관점의 접근
4. 실질적인 도움 체계와 캠페인의 연동
5. 집단별로 특화된 맞춤형 캠페인과 정책
6.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적극적 활용
7. 자살 예방을 위한 자살 보도와 미디어 콘텐츠 관리
8. 다층적, 통합적인 자살 예방 전략
9. 자살 예방 캠페인 주체와 참여의 다각화
10. 자살 예방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자원과 지원 증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