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2판) 약무행정과 경영관리 : Administrative and Managerial Pharmacy

서명/저자사항
(2판) 약무행정과 경영관리 = Administrative and Managerial Pharmacy / 한국약학교육협의회 사회약학분과위원회 지음
판사항
2판
단체저자
한국약학교육협의회 사회약학분과위원회
발행사항
서울 : 범문에듀케이션, 2018
형태사항
xiv, 656 p.: 삽도 ; 26cm
ISBN
9791159430961
주기사항
사회약학 분과위원 : 강혜영, 권경희, 권진원, 김기석, 김성옥, 김영미, 김혜린, 나현오, 문홍섭, 박귀례, 박천웅, 배승진, 배은영, 백수희, 서동철, 서혜선, 손현순, 신주영, 윤재석, 이광민, 이유정, 이의경, 이인향, 장선미, 정상헌, 조은, 주상훈, 지준필, 채병숙, 최상은, 표재성, 한용문, 한은아, 한은영, 허주영, 홍송희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5090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5090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1개 섹션, 6개 장 추가구성
-섹션 A. 약과 사회’ 추가.
사회약학의 정의와 다루는 범위와 접근방법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여 약대생들이 사회약학의 학문적 토대와 구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함.
약사의 전문성과 직업윤리를 보완하여 학생들이 향후 약사로서 사회에 진출하였을 때 가져야 하는 전문가로서의 자세와 태도에 대해 고민하는 기회 제공.
-섹션 B. '보건의료체계’
초판과 중복되는 부분을 정리, 따로 떨어져 있던 약국과 약사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 부분 통합.
-섹션 C. 의약품과 정책’ 새로 구성
의약품 가격과 건강보험급여를 둘러싼 제도를 주로 다루었던 초판에 의약품 안전관리제도와 정책에 대한 내용 추가.
의약품 정책의 원리와 관점을 키울 수 있도록 정책 형성과 집행, 평가에 대한 큰 틀을 제시하고, 의약품의 개발부터 사용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어떠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지 생각해볼 수 있도록 구성.
-섹션 D. 근거중심 약학’ 새로 구성.
초판에서 약물역학과 경제성평가의 기본 이론과 방법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기본적인 임상적, 과학적 근거에 대한 평가와 그 방법에 대한 설명이 부재하여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체계적 문헌고찰의 개념과 방법을 제시.
약사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임상문헌에 대한 이해와 약효평가와 관련된 새로운 지식과 방법론에 대해 학습.
-섹션 E. 약업경영
약국을 비롯한 조직을 경영하는 데 필요한 경영학의 기본적인 지식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
마케팅 장을 대폭 강화하고, 재무관리, 재고관리에 이어 인적자원관리 관련 장 추가.
목차

서문 v
SECTION A 약과 사회
CHAPTER 01 사회약학의 이해 3
01 사회약학의 정의 및 특징 4
1. 사회약학의 정의 4
2. 사회약학의 특징 4
02 보건의료 패러다임의 변화와 사회약학의 발전 9
1. 보건의료 패러다임의 변화와 사회약학 9
2. 미시적 범위: 사회약학의 구체적 영역 13
03 국내외 사회약학 도입 배경과 전망 18
1. 미국 18
2. 일본 20
3. 우리나라의 사회약학 도입 배경과 전망 22
CHAPTER 02 약사의 전문성과 윤리 25
01 약사의 전문성 26
1. 전문성에 대한 개념 26
2. 전문직업성에 대한 이론 29
3. 약사 전문성의 변화 요인 32
4. 약사 전문성의 강화 33
5. 미래 약사의 역할: 7-Star Pharmacist 39
02 약사윤리 43
1. 약사윤리의 기본 개념 43
2. 약사윤리 요구수준 44
3. 윤리성 판단기준 47
4. 윤리원칙 49
5. 윤리적 갈등과 대처 53
6. 생명윤리 56
7. 연구윤리 60
CHAPTER 03 의약품 사용 69
01 질병행태이론 70
1. 개요 70
2. 건강과 질병의 개념 71
3. 건강행태 모형 75
02 의약품 사용행태 86
1. 의약품 사용행태 86
2. 환자의 복약행태 95
CHAPTER 04 건강증진과 약국의 역할 113
01 건강증진의 개념의 도입과 발전 114
02 건강증진과 건강권 118
03 건강증진 사업의 기획 및 평가 121
1. 1단계: 사회적 진단 124
2. 2단계: 역학적, 행태적, 환경적 진단 124
3. 3단계: 교육 및 생태학적 진단 125
4. 4단계: 행정적 정책적 진단 126
5. 5단계: 프로그램의 수행 126
6. 6단계: 과정평가 126
7. 7단계: 영향평가 126
8. 8단계: 성과평가 127
04 우리나라의 건강증진 128
05 건강증진과 약국의 역할 131
1. 약료서비스의 질 제고 및 확대를 통한 접근 131
2. 건강증진의 확대를 통한 예방으로의 접근 132
3. 약사 역할에 대한 수요확대에 따른 전문역량 강화 133
06 주요국가의 약력관리 및 건강증진 약국 사례 135
1. 일본의 지역약국 136
2. 독일의 지역약국 - 가정약사제도 138
3. 영국의 지역약국 139
4. 미국의 지역약국 142
5. 호주의 지역약국 144
6. 캐나다의 지역약국 146
7. 유럽의 지역약국(PGEU 소속 국가) 146
07 우리나라 지역 약국의 건강증진 148
1. 서울시 건강증진협력약국: 세이프약국 150
2. 의료급여 환자 중 의약품복용이 많은 환자 대상 방문약료 151
3. 청소년 및 취약계층 대상 약물안전사용교육 151
SECTION B 보건의료체계
보건의료체계 154
CHAPTER 05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157
01 보건의료체계의 개념과 구성 158
1. 보건의료자원 159
2. 보건의료조직 164
3. 보건의료관리 169
4. 보건의료 재원조달과 지불보상 170
5. 보건의료전달 180
02 보건의료체계의 유형 183
1. 뢰머의 분류 183
2. OECD 분류 185
3. 국가보건서비스 vs. 사회보험 188
03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특성 189
1. 보건의료의 질 190
2. 보건의료재정 191
3. 보건의료자원 193
4. 보건의료활동 194
CHAPTER 06 건강보장의 이해 199
01 보건의료시장의 특성 200
1. 보건의료서비스 시장의 특성 200
2. 완전 경쟁과 보건의료시장 200
02 의료보험의 원리 206
1. 의료보험의 개념 206
2. 환자와 보험자: 역선택과 위험군 선택 206
3. 심층 설명: 도덕적 해이 212
4. 본인부담금 제도 217
5. 소결 219
03 건강보장과 사회보장 220
1. 사회보장에서 건강의 중요성 220
2. 건강보장의 역사 221
3. 건강보장의 유형 225
CHAPTER 07 우리나라의 건강보장제도 229
01 국민건강보험 230
1. 건강보험의 연혁 230
2. 건강보험 재정 234
3. 건강보험급여 242
4. 건강보험 관리운영 조직 248
5. 약국과 약사 251
02 의료급여 260
1. 의료급여의 연혁 260
2. 의료급여 수급자 260
3. 의료급여 급여 261
4. 의료급여 관리운영체계 262
03 노인장기요양보험 264
1. 가입자 264
2. 장기요양 이용 대상 264
3. 장기요양급여의 종류 265
4. 노인장기요양 재원조달 266
5.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관리운영체계 267
6.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성과와 과제 268
04 우리나라 건강보장제도의 성과와 문제점 269
SECTION C 의약품과 정책
HAPTER 08 의약품 정책의 개요 275
01 의약품 시장과 정부의 역할 276
02 의약품과 정책 279
1. 정책의 형성과 평가 279
2. 의약품 정책의 범위 및 내용 280
03 성공적 정책집행을 위한 요건 283
1. 실체적 가치 283
2. 절차적 가치 285
04 이어지는 장의 내용 287
CHAPTER 09 의약품 안전관리 정책 289
01 의약품 안전관리 정책의 배경 290
1. 의약품 안전관리 정책의 범위 290
2. 의약품 안전관리 정책의 도입 배경 293
3. 의약품 안전관리 정책의 필요성 296
02 의약품 안전관리 정책의 내용과 국제조화 298
1. 우리나라의 의약품 안전관리 체계 298
2. 우리나라의 의약품 안전관리 정책 299
3. 국제조화 306
CHAPTER 10 의약품 공급체계 313
서문 314
01 국내 의약품 공급 현황과 특성 316
1. 공급자 범위 316
2. 제약회사의 의약품 공급 현황과 문제점 316
3. 도매상의 의약품 공급 현황과 문제점 320
4. 소매업의 의약품 공급 현황과 문제점 322
5.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자의 의약품 공급현황과 문제점 325
6. 의약품 유통구조-경로 326
02 의약품 공급 및 유통 관련 정책 328
1. 의약물 유통체계 합리화 정책 328
2. 국가필수의약품 지정 및 공급계획 수립 331
3. GSP를 통한 유통 경로에서 질 관리 332
4. 퇴장방지의약품 목록 333
CHAPTER 11 보험의약품 관리 정책 339
01 의약품과 건강보험정책 340
1.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 340
2. 한정된 건강보험재정의 지속 가능성: 약품비 적정화 341
3. 근거중심적 의사결정 344
02 보험의약품 관리제도의 유형과 특징 346
1. 공급 측면의 보험의약품 관리 방안 347
2. 수요 측면 보험의약품 관리 방안 351
03 우리나라 보험의약품 관리제도 356
1. 의약품의 보험등재와 약가 결정 및 조정 356
2. 요양기관에 대한 보험약가의 상환 363
3. 수요 중심 약품비 관리 제도 368
SECTION D 근거중심약학
CHAPTER 12 근거중심약학 개요 375
1. 배경 376
2. 정의 376
3. 근거중심의 의사결정 377
4. 근거생성 및 통합 필요성 및 관련학문 377
CHAPTER 13 약물역학 381
01 약물역학의 개요 382
1. 역학의 정의 382
2. 약물역학의 정의 및 필요성 384
3. 약물역학에서 사용되는 용어 386
02 연구설계와 분석 393
1. 약물역학연구의 설계 394
2. 약물역학연구의 비판적 평가와 비뚤림 404
3.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 408
4. 연구디자인별 비교 412
03 약물감시 413
1. 의약품 등 이상사례 보고제도 413
2. 신약 재심사제도 419
3. 재평가제도 419
4. 의약품허가갱신제도 420
5. 의약품 위해관리제도 421
CHAPTER 14 체계적 문헌고찰 425
1. 체계적 문헌고찰의 개요 426
2. 수행단계 428
3. 연구질문 설정 429
4. 문헌검색 431
5. 문헌선택 및 자료추출 436
6. 문헌의 질 평가 439
7. 자료분석과 결과제시 445
8. 근거수준 평가 451
9. 결론 도출 452
CHAPTER 15 의약품 경제성 평가 455
1. 의약품 경제성 평가의 개념과 의의 456
2. 의약품 경제성 평가의 유형 458
3. 의약품 경제성 평가의 수행방법 461
4. 결론 492
SECTION E 약업경영
약업경영 개요 498
CHAPTER 16 마케팅 501
01 마케팅에 대한 기본 개념 502
1. 마케팅의 개념과 정의 502
2. 마케팅 개념의 변화 504
3. 시장과 고객 욕구의 이해 505
4. 마케팅 전략 수립 과정 508
02 상황 분석과 목표 설정 510
1. 상황 분석 510
2. 포트폴리오 매트릭스 513
3. 목표 설정 514
03 시장 세분 포지셔닝 과정 516
1. 시장 세분화 517
2. 목표 시장 설정 521
3. 위치 설정 522
04 마케팅 믹스 525
1. 마케팅 믹스 전략 525
2. 제품 528
3. 가격 535
4. 유통 541
5. 촉진 543
CHAPTER 17 재무관리 551
01 약국재무관리 552
1. 약국재무관리 소개 552
2. 재무상태표 552
3. 포괄손익계산서 557
4. 감가상각 559
02 재무제표분석 564
1. 수익성비율 564
2. 유동성비율 567
3. 효율성비율 568
4. 장기지불능력비율 570
5. 재무비율의 상호관계 571
6. 재무비율분석방법 572
7. 재무제표분석 시 주의사항 572
03 손익분기분석 574
1. 손익분기분석 574
2. 비용의 분류 574
3. 손익분기점분석 575
4. 손익분기점분석의 한계점 581
CHAPTER 18 재고관리 583
1. 재고관리 목적 584
2. 재고와 관련된 비용 584
3. 경제적 주문량 모형 585
4. 재주문시점 588
CHAPTER 19 인적 자원 관리 591
1. 인적 자원 관리란? 592
2. 인적 자원 관리의 기초 자료 592
3. 인적 자원 관리의 과정 598
CHAPTER 20 의사소통 613
1. 개인 간 의사소통의 기본원리 615
2. 약사와 환자 간의 의사소통 621
3. 약사와 타 보건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634
찾아보기 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