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51764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5176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2005년까지 발표된 전국의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노인에게 사용되었던 노인 관련 척도 내용을 자아개념, 심리 및 정신건강, 사회적 기능척도, 사회적 관계망 척도, 가족관련 척도, 건강 및 신체관련, 기타 등 총 7개 분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목차
척도집 활용지침
제 1 부 자아개념 척도
1. 자긍심(자아존중감) 척도
2. 자기효능감 척도
3. 자아개념 척도
4. 자아통합감 척도
5. 여가 유능감 지각 척도
제 2 부 심리 및 정신건강 척도
1. 감정 균형 척도
2. 강인성 수준 척도
3. 고독감 척도
4. 낙상 두려움 척도
5. 낙상 효능감 척도
6. 내외 통제성 척도
7. 내·외향적 성격 척도
8. 노인생활 만족도 척도
9. 무력감(학습된 무기력) 척도
10. 불안 척도
11. 사기 척도
12. 사회적 고립감 척도
13. 삶의 의미 척도
14. 삶의 질 척도
15. 안녕 척도
16. 여가 만족도 척도
17. 우울 척도
18. 인지기능 척도
19. 자살 생각 척도
20. 절망감 척도
21. 정서 척도
22. 정신건강 척도
23. 주관적 안녕감 척도
24. 죽음 및 임종과정의 심리단계별 반응양상 평가 척도
25. 죽음 불안 척도
26. 행복감 척도
제 3 부 사회적 기능 척도
1. 공격 행동 척도
2. 노인에 대한 관심 척도
3. 대인관계 척도
4. 사회관계 척도
5. 사회적 건강 척도
6. 사회적 관계 척도
7. 사회 행동 척도
8. 일상생활 정도 척도
제 4 부 사회적 관계망 척도
1. 가족 지지 척도
2. 사회적 관계망 척도
3. 사회적 지원 척도
4. 사회적 지지 척도
5. 인간 상호 간의 영향 척도
제 5 부 가족 관련 척도
1. 가족 결속 척도
2. 가족 헌신주의 척도
3. 부부간 성 척도
4. 부양 부담 척도
5. 부양 행동 척도
6. 성역할 태도 척도
7. 성인 자녀와의 결속도 척도
8. 유교적인 가치관 척도
9. 자녀의 효 태도 척도
제 6 부 건강 및 신체 관련 척도
1. 건강 증진 행위 척도
2. 수면 장애 척도
3. 신체 기능 척도
4. 신체·인지 기능 척도
5. 신체적 건강 척도
6. 심신 기능 손상 정도 척도
7. 약물 오용 예방 행위 척도
8. 이전 건강 관련 행위 척도
9. 주관적 건강 상태 척도
10. 지각된 장애성 척도
11. 통증 척도
제 7 부 기타 척도
1. 노인 차별 척도
2. 물질주의 척도
3. 복지감 척도
4. 사용 행동 척도
5. 상황적 영향 척도
6. 약물 지식 척도
7. 약물 태도 척도
8. 어린 시절 소비경험 척도
9. 여가 권태 척도
10. 여가 몰입경험 정도 척도
11. 여가 태도 척도
12. 인지된 탐색 혜택 척도
13. 자원봉사 활동 척도
14. 정보처리 능력 척도
15. 정보 탐색 노력 척도
16. 주변 생활환경 척도
17. 지각된 유익성 척도
18. 지각된 위험 척도
19. 케어 서비스 이용 정도 척도
20. 탐색 동기 척도
21. 행위 관련 감정 척도
22. 행위 의도 척도